목차

세계관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와 아나키즘 *

MARX21

  • 출처: Paul Blackledge, ‘Marxism and anarchism’, International Socialism 125(Winter 2010).

  1. 이 글의 초안을 읽고 논평해 준 콜린 바커, 알렉스 캘리니코스, 조셉 추나라, 크리스틴 고튼, 특히 크리스 하먼에게 감사한다. 크리스 하먼의 상세한 논평은 여전히 관대하면서도 최고의 통찰력을 보여 주었다. 그는 영감을 주는 멘토였다. 이 에세이를 그에게 바친다.
  2.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것으로는 Callinicos and Nineham 2007, p93이 있다.
  3. 파리 코뮌에 대해 좀더 일반적으로,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한 아나키즘과 마르크스주의의 해석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싶으면, Gluckstein 2006, 특히 pp181-207을 보시오.
  4. Guérin, 1970, p12.
  5. Chomsky, 1970, pp xv, xviii.
  6. 드레이퍼는 “사회주의의 두 가지 정신”이라고 부른 매우 유명한 구분, 즉 “위로부터의 사회주의(스탈린주의와 개혁주의)”와 “아래로부터의 사회주의(고전 마르크스주의)”를 제시했다. Draper, 1992, pp2-33.
  7. Draper, 1992, pp6, 11; Draper, 1999, p187.
  8. Guérin, 1970, p86.
  9. Chomsky, 2005, pp182-184; 그리고 레닌주의는 결국 “독재와 반동”으로 귀결됐을 뿐이라는 버크맨의 주장을 보시오. Berkman, 1989, piv.
  10. 계급투쟁에 참여하는 아나키즘과 자율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유사성에 관해서는 Franks, 2006, p12를 보시오; Day, 2005, p10.
  11. 예를 들어, Franks 2006, p15를 보시오.
  12. 예를 들어, Franks, 2006, p226.
  13. Bakunin, 1990, p143.
  14. Callinicos, 2003, p299.
  15. 마르크스주의를 우스꽝스럽게 묘사하는 아나키스트들의 주장에 합리적 핵심이 있다면, 그것은 20세기 들어 마르크스주의자를 자처하는 목소리들 중 가장 강력한 것들이 바로 우리가 생각하는 사회주의와는 거리가 먼 야만적인 체제를 이끌었던 국가 중심주의자들(스탈린주의든 아니면 마오주의의 일종이든)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미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비전이 옛 스탈린주의 국가들의 사회주의 참칭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기초를 제공했고(Thomas, 1980, p122), 그리고 본지(《인터내셔널 소셜리즘》)가 오랫동안 스탈린주의 정권들과 마오주의 정권들이 결국 자신들의 독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마르크스와 레닌 사상의 조악한 짝퉁을 잘 활용한 관료적 국가자본주의의 변형들일 뿐이라는 주장을 해 왔으므로, 여기서는 같은 주장을 반복하지 않겠다.(예를 들어, Harman, 1990을 보시오.)
  16. Marshall, 2008, p305.
  17. Blackledge, 2006.
  18. Holloway, 2002, pp11-18.
  19. Lenin, 1968, p304.
  20. Molyneux, 1986, p76.
  21. 특히 Lukács, 1971, pp295-342를 보시오.
  22. 우리가 앞으로 보게 되듯, 아나키스트들(또는 최소한 그들 중 대부분)은 조직 건설 자체를 거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들은 정치를 국가 권력 획득과 관련된 것으로 매우 협소하게 규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치 조직을 거부한다.
  23. Lenin, 1993, p32.
  24. Trotsky, 1921.
  25. Lenin, 1961b, p423.
  26. Lenin, 1961a, p328.
  27. Marshall, 2008, p25.
  28. Lukács, 1970, p63.
  29. 사회주의 정치에서 이러한 구분의 중요성을 개관한 것은 Hallas, 1979, chapter 3을 보시오.
  30. Franks, 2006, p262.
  31. 랜덜 암스터Randall Amster를 포함한, 아나키즘에 관한 최근의 학술 선집의 공동 편집자들은 “프루동이 요구한 국가 없는 사회는 아나키즘 사상의 특징이 됐다”고 주장했다.(Amster and others, 2009, p3)
  32. Woodcock, 1962, p28. 프랭크스는 직접행동이 “현대 아나키즘의 실천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해졌다”고 설명한다.(Franks, 2006, p17)
  33. 콜린 워드Colin Ward는 아나키즘적 공산주의, 아나키즘적 신디컬리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평화주의 아나키즘, 환경 아나키즘, 아나키즘적 페미니즘이라는 목록을 만들었다.(Ward, 2004, pp2-3, 그리고 Franks, 2006, pp12-18도 보시오.)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경향 아나키스트인 머레이 북친은 라이프스타일 아나키스트들의 “구조나 조직, 대중 참여 등을 오만하게 비웃는 마음가짐, 유치하고 우스꽝스런 장난질”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을 썼다.(Gordon, 2008, pp25-26에 재인용된 Murray Bookchin)
  34. Franks, 2006, pp116-124.
  35. Graeber, 2002, p62. 또한 Gordon, 2008, pp17; Woodcock, 1962, pp28; Franks, 2006, p115를 보시오.
  36. Franks, 2006, pp196-259.
  37. Cliff, 1986, p84. 또한 Le Blanc, 1990, p44를 보시오.
  38. Callinicos and Holloway, 2005, p117.
  39. Harman, 1991, p13, 또한 Harman, 2009, chapter 4를 보시오.
  40. Trotsky, 1973, p316.
  41. 마르크스주의에서 소비에트의 중요성과, 소비에트와 혁명정당의 관계는 Gluckstein, 1985, pp212-246을 보시오.
  42. Durgan, 2006, pp165-6; 1981, p104-110; 2007, p.88; Trotsky, 1977, pp646-668.
  43. Franks, 2006, p100.
  44. Harman, 1996.
  45. 아나키스트들을 좀더 공정하게 평하자면, 레닌을 20세기의 블랑키주의자로 환원하는 그들의 경향은 이 문제에 대한 몇몇 최고 수준의 학술적 논의와 일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Miliband, 1977, p155를 보시오. 그리고 그에 대한 나의 비판으로는 Blackledge, 2007, p78를 보시오.
  46. Barker, 2001, p42.
  47. Franks, 2006, p118.
  48. Gordon, 2008, p69.
  49. Gordon, 2008, p70.
  50. Woodcock, 1962, p30.
  51. Kinna, 2005, pp114-115; Freeman, 1970.
  52. Löwy, 2005, p23.
  53. Franks, 2006, p212.
  54. Marshall, 2008, p23, p296.
  55. Goodway, 1989, p1; Chomsky 1970, pxii; Marshall, 2008, p639.
  56. Marx, 1973b, p84.
  57. Morland, 1997, p3.
  58. Morland, 1997, pp188-189.
  59. Collier, 1990, p41. 마르크스가 막스 슈티르너Max Stirner의 아나키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어떻게 인간 본성의 역사적 개념을 발전시켰는지를 보려면, Blackledge, 2008, p134를 참조하시오.
  60. Engels, 1988, p425; 1990c, p227; Marx, 1974b.
  61. Marcuse, 2008, p87.
  62. Marshall, 2008, p305. 마르크스는 바쿠닌의 “어린아이 같은 어리석음”을 비판했던 논평에서, “급진적인 사회 혁명은 그 전제조건으로 경제발전의 특정한 역사적 조건에 달려 있다”고 썼다. (Marx, 1974b, 334.)
  63. Kinna, 2005, p31.
  64. Kinna, 2005, p8.
  65. Fernbach, 1974, p17에서 재인용된 Marx.
  66. Fernbach, 1974, p17.
  67. Collins and Abramsky, 1964, p101; Gilbert, 1981, p90와 비교하시오.
  68. Marx, 1974c, p206.
  69. Bakunin, 1973, p263.
  70. Marshall, 2008, p301.
  71. Marx, 1974c, pp206, 208, 212.
  72. Draper, 1987, p29.
  73. Engels, 1989b, p71.
  74. Bakunin, 1990, p136.
  75. Kropotkin, 2002, pp237-242.
  76. Bakunin, 1990, p182.
  77. Rudé, 1988, pp94-5.
  78. Israel, 2001, p717.
  79. Soboul, 1977, p107.
  80. Guérin, 1989, p.121.
  81. Lenin, 1961c, p383.
  82. Le Blanc, 1990, p83. 마르크스의 이른바 자코뱅주의에 대한 현대 개혁주의의 비평을 보려면, Bernstein, 1993, p36를 참조하시오.
  83. Löwy, 1989, p119.
  84. Hegel, 1956, pp446, 450, 449. Marx, 1975, p413와 비교하시오.
  85. Taylor, 1975, p437.
  86. Marx, 1973a.
  87. Marx, 1974a, p82.
  88. 이 개념에 대한 아나키즘의 끔찍한 비평을 보려면, Day, 2005, pp6-7를 참조하고, 이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의 강력한 응답을 보려면, McKay, 2009를 참조하시오.
  89. Draper, 1986, pp37-8.
  90. Engels, 1989a, p13. 또한 마르크스주의와 블랑키주의의 차이점에 관해서는, Lenin, 1964, p47을 보시오.
  91. Trotsky, 1977, p1017.
  92. Marx and Engels, 1970, p95.
  93. Kinna and Prichard, 2009, p272; Guérin, 1989, p119.
  94. Arblaster, 1971, p181.
  95. Bakunin, 1990, pp178-179.
  96. Chomsky 1970, pp ix; Ward, 2004, p5; Marshall, 2008, p305
  97. McNally, 2006, p348.
  98. Thomas, 1980, p252.
  99. Hallas, 1996, p40.
  100. Cliff, 1996, pp73-74.
  101. Darlington, 2008, pp74-75.
  102. Portis, 1980, pp44-45.
  103. Gramsci, 1971, pp197-198; Williams, 1975, pp145-168.
  104. Gramsci, 1978, p369.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