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집 - 트로츠키 사망 70년

국제사회주의경향의 기원


MARX21

  1. Sarneh 1991.
  2. Trotsky 1939, p17.
  3. Trotsky 1935.
  4. Trotsky 1938.
  5. 토니 클리프(1917-2000)는 본명이 이가엘 글룩스타인Yigael Gluckstein으로 팔레스타인계 트로츠키주의자였다. 1947년부터 그는 소련이 ‘(관료적으로) 변질된 노동자 국가’라는 트로츠키의 견해에 반대해 소련을 ‘(관료적) 국가자본주의’로 보기 시작했다. 그 결과가 바로 《소련 국가자본주의》(초판은 1948년 출판됨)였다.[국역: 《소련 국가자본주의》, 책갈피, 1993.]
  6. 트로츠키 2003.
  7. Hallas 1973.
  8. Trotsky 1939, p9.
  9. Trotsky 1938, Part 1.
  10. Trotsky 1939, pp9-10.
  11. Trotsky 1938, Part 1.
  12. Trotsky 1938.
  13. Draper 1971; 드레이퍼 2003.
  14. Cliff 1947.
  15. Cliff 1957.
  16. 좀 오래됐지만 국내 도서로는 유일하게 트로츠키의 ‘결합된 불균등 발전론’의 시각에서 종속이론과 볼리비아·쿠바·칠레의 사회 발전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클리프의 빗나간 연속혁명을 입증한 책이 있다. 럭스브로우 1980.
  17. 스탈린주의자들의 곡해와 비방과 달리, 트로츠키는 농민이 혁명적일 수 있다고 믿었다. 그가 믿지 않았던 ― 그리고 역사 속에서 언제나 입증된 ― 점은, 농민이 독자적인 정치적 구실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18. 국제 혁명을 “동시다발 혁명”으로 왜곡하는 스탈린주의자들에 대해 트로츠키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물론 10월혁명을 경험하고 성숙한 사람들 사이에서 프롤레타리아의 국제 혁명이 단일한 행위일 수 없다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없다. 10월혁명은 역사적 필요성의 압력을 받은 한 후진국 프롤레타리아가 선진국들의 프롤레타리아가 ‘실제로 전면에 나서기를’ 기다리지 않고 성취한 것이었다.” Trotsky 1929, pp21-22.
  19. 몰리뉴 2003, pp20-21.
  20. Davidson 2006.
  21. 이 절은 최일붕 2007, pp149-165를 편집해 재수록한 것이다. 그러나 이 ‘자기 표절’로 필자가 얻는 금전적 이익이나 학술적 지위 제고 따위는 없음을 분명히 밝혀 둔다.
  22. 캘리니코스 1990, p38.
  23. 캘리니코스 1990, pp48-53.
  24. Hallas 1973, p21.
  25. 캘리니코스 1990, pp53-54.
  26. 하먼 1990, p74.
  27. Trotsky 1967, pp61-62.
  28. Trotsky 1967, p47.
  29. Trotsky 1967, pp252, 288.
  30. Trotsky 1967, p112.
  31. 클리프 1993, pp282-284, 162-163.
  32. 클리프 1993, pp280-282.
  33. Molyneux 1981, pp129-130.
  34. 클리프 1993, pp148-149, 168.
  35. 클리프 1993, 1장.
  36. 클리프 1993, pp163-164.
  37. 클리프 1993, pp162-163.
  38. 소련 사회과학자들의 논문집인 Yanowitch & Fisher 1973. 특히 pp241-274. McAuley 1979, p66. Smith 1977, pp48, 131-132. 또, 보슬렌스키 1981. 그러나, 터무니없게도 보슬렌스키는 스탈린주의 체제의 기원을 레닌과 1917년 볼셰비키 혁명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39. Rabkina & Rimashevskaya. McAuley 1979, p181에서 재인용. 소련의 계획 당국은 공식 빈곤선을 “최소한의 물질적 만족”이라 불렀는데, 노동자 가구의 3분의 2와 집단농장 농민 가구의 84퍼센트가 공식 빈곤선의 1.4배 이하의 소득으로 생계를 꾸려 나갔다. 이에 대해서는 McAuley 1979, chapter3 참조. 또, Lane & O’Dell 1978, 표 5.7.
  40. 캘리니코스 1981, pp226-257.
  41. Rabkina & Rimashevskaya, p208. McAuley 1979, p182에서 재인용.
  42. McAuley 1979, p182.
  43. Batyshev 1968. Lane & O’Dell 1978, p90에서 재인용.
  44. Aganbegyan 1982, p224.
  45. Harman 1969, p38.
  46. Harman 1969, p37.
  47. Harman 1969, p38.
  48. 하먼 1990a, pp75-79.
  49. 캘리니코스 1992, pp212-213.
  50. 하먼 1990b, pp35-36.
  51. 하울 1990, p121.
  52. Harman 1976, p27.
  53. Harman 1976, p28. 하울 1990, pp141-144.
  54. 하먼 1990a, pp82-85. Harman 1976, p27.
  55. Harman 1976, p27.
  56. 하먼 1990a, pp84-85. 하울 1990, pp115, 141-142. 캘리니코스 1981, p257.
  57. 밀즈 1982, pp57-59.
  58. Cliff 1999, p50.
  59. 렌즈 1984, p63.
  60. 렌즈 1984, p43.
  61. 렌즈 1984, p44.
  62. 하먼 1995, p109.
  63. Cliff 1999, p48.
  64. Mandel 1964.
  65. Cliff 1999, p51.
  66. 이윤율(p)=잉여가치/투자 자본 총액=잉여가치(s)/불변자본(c)+가변자본(v)
    이 등식 우변의 분모와 분자를 모두 v로 나누면,
    p = (s/v)/(c/v+1), 즉 (착취율 / 자본의 유기적 구성 + 1)
    즉, 이윤율은 자본의 유기적 구성에 반비례하고 착취율에 비례한다.
  67. 하먼 1995, pp135-136. 번역은 오역을 고치는 것을 포함해 내가 다소 수정했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