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집:세계를 뒤흔드는 아랍 혁명 ― 의미와 전망

이슬람주의의 과거와 현재 *


MARX21

  • 출처: Sameh Naguib, ‘Islamism(s) old and new’, EGYPT: The Moment of Change, Zed Books, 2009.

  1. 가마트 이슬라미야Gamaat Islamiya, 자마트 알이슬라미야, 알자마 알이슬라미야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2. 동일한 이론의 또 다른 아랍 좌파식 해석은 Al Said 1999; Azm 1998을 보시오.
  3. 나세르 이전의 운동에 관해서는 Mitchell 1969; Lia 1998을 보시오.
  4. Wiktorowicz (2004)는 사회운동 이론을 이슬람주의에 적용한 아랍 나라들의 연구들을 잘 정리했다. 특히, 이론을 다룬 서문을 보시오.
  5. 잘 알려진 사례로, Foucault (1994)는 이란 혁명을 ‘최초의 포스트모던 혁명’으로 규정한 바 있다.
  6. 그러나 심지어 1970년대 중반에도 새로운 무슬림형제단과 사다트 정부 사이의 전술적 동맹 관계는 한계가 있었다. 사다트 정부는 무슬림형제단을 합법 조직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지도자인 오마르 알틸미사니를 슈라[상원] 의회의 의원으로 임명하지 않았다(나중에 무바라크는 국민진보연합당의 ‘좌파 야당’ 지도자 리파트 알사이드를 그 자리에 임명했다).
  7. 베이닌과 많은 세속 좌파 전문가는 이슬람주의 학생 조직이 좌파를 대신해 성장한 것을 “협박, 물리력 사용, 값싼 복사본 교재나 히잡 착용 여성을 위한 교통편 제공 등 서비스 제공”의 결과로 해석한다.(Beinin 2005: 119) 이런 설명은 이슬람주의 운동의 성장이라는 도전에 좌파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과, 이슬람주의 운동이 수많은 학생에게 자신을 급진적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었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8. 더 자세한 내용은 Azzam 2006을 보시오.
  9. http://arabist.net/archives/2006/08/05/the-muslim-brothers-support-for-lebanon을 보시오.
  10. 이 문제에 관한 압델 메나임 아부 알푸투와 모하메드 무르시(둘 다 무슬림형제단의 지도적 회원) 사이의 치열한 지면 논쟁(2007년 10월호 <투스투르>)을 보시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