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대 진보사상 조류

니코스 풀란차스의 정치 이론 비판 *


MARX21

  • 출처: Barker, Colin 1979, ‘A “New” Reformism? — A Critique of the Political Theory of Nicos Poulantzas’, International Socialism 4(Spring 1979).

  1. K. Marx, ‘The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Adopted November 4 1848’, Notes to the People, London, no 7, (June 1851); Hal Draper, Karl Marx’s Theory of Revolution, Vol I (1977), Monthly Review Press, p. 316에서 재인용.
  2. Ralph Miliband, The State in Capitalist Society, Weidenfeld & Nicolson, (1969), (현재는 4부작 페이퍼백); Nicos Poulantzas, Political Power and Social Classes, NLB, (1973); Fascism and Dictatorship, (1974); Classes in Contemporary Capitalism, (1975); Crisis of the Dictatorships, (1976). 밀리반드와 풀란차스는 《뉴 레프트 리뷰New Left Review》의 여러 호에서 논쟁을 벌였다.
  3. John Lea, ‘The State of Society’, International Socialism, old series no. 41, Dec~Jan 1969; Simon Clarke, ‘Marxism, Sociology and Poulantzas’s Theory of the State’, Capital and Class, 2, summer 1977.
  4. Isaac Balbus, ‘Modern capitalism and the state’, Monthly Review, May 1971.
  5. John Lea, 앞의 글.
  6. 예컨대, Simon Clarke, ‘Althusser’s Marxism’(아직 출간되지 않았지만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사회학과로 찾아가면 그에게서 등사판을 구할 수 있다); E.P. Thompson, The Poverty of Theory and other essays, Merlin, 1978.
  7. Lucio Coletti, From Rousseau to Lenin, NLB, (1972).
  8. Colin Barker, ‘Muscular Reformism’ (review of Marxism and Politics) International Socialism, old series 102, (October 1977)을 보라.
  9. Nicos Poulantzas, State, Power, Socialism (이하에서 SPS로 표기함), New Left Books, (1978), £7.50. 풀란차스는 제4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의 앙리 베버와 흥미로운 대담도 했다. 이 대담은 Critique Communiste 16, (June 1977)에 처음 실렸고, International에 영어로 번역됐으며, 미국 잡지 Socialist Review no 38 (March~April 1978)에 재수록됐다. 내 인용의 출전은 이것으로, 이하에서 Interview로 표기하겠다.
  10. SPS, p. 256.
  11. 같은 책.
  12. 같은 책, p. 257.
  13. Interview, p. 20.
  14. 거의 그런 것 같다. 풀란차스와 베버의 다음 대화를 보면, 둘 중 누구도 분명하게 말하지 않지만 말이다.
    풀란차스: 다원주의를 신봉하는가?
    베버: 물론이다. 우리는 다원주의를 신봉하고, 실천한다.
    풀란차스: 적들에게도 다원주의를 인정하는가?
    베버: 그렇다. 부르주아 정당들한테도 인정한다는 글을 쓰기도 했다.
    풀란차스: 아하, 부르주아 정당들도! 그런데, 순진하다는 얘기를 듣지 않으려면 여러 가지를 해명해야 할 듯하다. 우리 내부의 비판도 두렵기 때문이다.
    베버: 물론이다.
    풀란차스: 아주 좋은 말이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제도로 다원주의를 보장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 물론 그것은 항상 부차적인, 그러나 중요한 문제다. … (Interview, p. 23).
    제4인터내셔널이 부르주아 정당들에게도 다원주의를 보장하는 문제는 다음 기회에 살펴보겠다!
  15. SPS, p. 264~5.
  16. 같은 책, p. 260.
  17. 같은 책, p. 256. 칼 마르크스의 불안정한 정신 상태가 사상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데 열심인 풀란차스가 정작 그 옛 혁명가에게 무관심하다는 사실에 주목하라. 엥겔스를 대하는 풀란차스의 태도도 마찬가지다.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이해하고 싶다면 파리코뮌을 보라고 얘기한 사람이 엥겔스였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에게 “이정표”가 있었다면 그 이정표는 풀란차스가 가리키는 방향과 정반대를 가리켰을 것이다.
  18. SPS, p. 124.
  19. 같은 책, p. 125.
  20. 예컨대, Norman Geras, The Legacy of Rosa Luxemburg, NLB, 1976, p. 187. 룩셈부르크가 쓴 팸플릿들에는 다른 문제들로 볼셰비키를 비판하는 내용들이 있는데 역시 부적절한 게 꽤나 많다. Tony Cliff, Rosa Luxemburg, IS, 1969, ch. 7 참조.
  21. Tony Cliff, 앞의 책, p. 70 참조.
  22. Norman Geras, 앞의 책, p. 144.
  23. 같은 책, p. 126.
  24. Tony Cliff, Lenin, Vol. 3, Pluto, (1978)을 참조했다.
  25. SPS, p. 253; Interview, p. 21.
  26. 앙리 베버가 Interview에서 이런 주장을 하지만 풀란차스는 자기 하고 싶은 말로만 대꾸한다. 풀란차스는 러시아 혁명이 내적으로 패배했다는 이런 역사적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은 채, 그 근거로 중국, 쿠바, 캄보디아 혁명에서도 민주주의가 없었다는 사실을 거론한다. 베버는 이 혁명들에서 노동계급이 독자적 구실을 전혀 하지 않았고, 그것들은 모종의 사회주의 혁명도 아니었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는다. [그런 나라들을 변질된 노동자 국가나 기형적 노동자 국가로 보는 제4인터내셔널 지지자인] 베버가 어떻게 그럴 수 있겠는가? 어쩌다가 제4인터내셔널은 개혁주의에 맞서 소비에트 사상을 옹호할 수 없는 지경으로까지 전락했단 말인가?
  27. Interview, p. 22.
  28. 풀란차스는 비밀 투표를 옹호하는데, 앙리 베버도 그러다니 정말 놀랍다(Interview, p. 25).
  29. 예컨대, SPS, p. 104를 보면, “국가에서 분리된 동일한 단자單子, monad들의 총체인 정치적 통일체body-politic[조직된 정치 집단으로 여겨지는 한 국가의 전 국민]의 개별화”라는 말이 나온다.
  30. 예컨대, Franz Neumann, ‘The change in the function of law in modern society’, The Democratic and the Authoritarian State, Free Press, (1957); 풀란차스 자신도 이 점을 언급했다. 예컨대, SPS, p. 172 참조.
  31. Interview, p. 20.
  32. SPS, p. 262.
  33. 풀란차스는 파리코뮌 이후의 마르크스 견해를 폐기한다. 마르크스는 노동계급이 기존 국가 기구를 그냥 손에 넣어, 자기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풀란차스는 “대의민주주의”를 계급 중립적인 영속적 형태로 취급한다. 그러면서도 그는 딴소리를 한다. 예컨대, “… 국가의 구체적 제도에 정치적 지배가 아로새겨져 있다. … (자본주의 국가에서 부르주아지의 것인) 국가 권력은 이렇게 구체적이다.”(SPS, p. 14) 풀란차스는 자본주의 국가가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을 분리한다고 말하지만 의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떤” 제도들은 다를 수 있다고 눙친다. 예컨대, “국가와 대중의 관계가 표출되는, 다수의 이른바 간접민주주의 제도(정당, 의회 등등)가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존한다는 것도 분명하다.”(SPS, p. 56) 그러나 풀란차스는 무엇과 어떻게의 문제를 명시하지 않는다.
  34. Interview, p. 31.
  35. 예컨대, ‘The Weakening of the State’, SPS, p. 241ff.
  36. 같은 책, pp. 206~7.
  37. Interview, p. 20.
  38. SPS, p. 255. 같은 책, p. 261도 참조.
  39. 같은 책, p. 264.
  40. 같은 책, p. 255.
  41. 같은 책, p. 260.
  42. Interview, p. 13~4.
  43. SPS, p. 198.
  44. 같은 책, p. 197.
  45. 같은 책, p. 197.
  46. 그 중에서도 Nicolai Bukharin, The Economics of the Transformation Period, Bergman, (1971) 참조.
  47. SPS, p. 197.
  48. 같은 책, p. 265.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