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쟁점Ⅰ:진보, 금융, 발전국가

발전국가론과 한국의 산업화


MARX21

  1. 박정희 정부가 처음 만든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미국의 지원을 더 받아 내려는 “쇼핑 리스트”에 지나지 않았다는 평가가 많았다. 기미야 다다시 2009, p110. 즉, 구체적인 계획이라기보다 한국 정부가 건설하길 희망하는 산업, 공장 목록을 나열한 것일 뿐이었다는 것이다.
  2. 윤상우 2005, p74에서 재인용.
  3. 박은홍 2008, p23.
  4. 장하준 2006, p79.
  5. 장하준 2006, p72.
  6. 예를 들어, 장하준은 신자유주의 경제학, 특히 하이에크를 비롯한 오스트리아 학파가 국가 개입에 대한 이해를 바꿀 수 있는 근본적인 통찰을 제공했다고 본다.
  7. 박은홍 2008, p35.
  8. 윤상우 2005, pp76-77.
  9. 장하준 2006, p235.
  10. “발전국가론이 동아시아에서 발견한 ‘성장의 엔진’은 때늦은 산업화 과정에서 ‘시야가 넓은 조타수’ 역할을 한 발전국가였다.” 박은홍 2008, p20.
  11. “한국 경제 씨스템이란 1961년 군부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군사정권에 의해 창출되고, 이후 수십 년간 한국의 경제 발전을 가속해 온 씨스템을 가리킨다. 이 씨스템은 국가, 은행 그리고 재벌 간의 긴밀한 제휴에 기반한 것이었고, 그 중 국가가 주된 행위자였다. 따라서 그것은 (이 표현이 꼭 맞는 것은 아니지만) 종종 ‘주식회사 한국’(Korea Inc.)이라고 알려지기도 했다.” 신장섭·장하준 2004, p17.
  12. 발전국가론이 제기하는 “규율된 시장” 혹은 “지도된 시장”이라는 개념이 바로 이것이다.
  13. 커밍스 2001, p446.
  14. ‘8·3 사채 동결 조치’에 대해서는 김정렴 1995, pp255-287을 참고하시오. 김정렴은 박정희의 핵심 경제 참모 중 하나로 1972년 당시에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다. 그는 ‘8·3 사채 동결 조치’가 재벌(전경련)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추진됐다고 증언한다.
  15. 조준현 2000, p201.
  16. 조준현 2000, p150, 각주 18에서 재인용.
  17. 커밍스 2001, pp444-445.
  18. 박은홍 2008, p31.
  19. 발전국가론자들은 유능한 관료 기구 중에서도 “선도 기관”을 중요 요소로 보는데, 일본 통산성, 한국 경제기획원, 타이완 경제 계획 발전위원회 등이 대표적인 예다. 엘리트 관료들로 구성되는 선도 기관들은 정부 안팎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우면서도 그것을 조정하는 막강한 권한을 갖는다는 것이다.
  20. 암스덴은 한국의 급속한 성장의 핵심 기제로 ‘보조금’과 ‘규율’이라는 이중의 정책을 강조한다. 기업들에게 할당된 목표, 예를 들면 수출 실적을 채우지 못하면 그 기업은 국가가 제공하는 특혜를 잃게 된다.
  21. 장하준 2006, pp230-231.
  22. 조희연 2010, p53.
  23. 암스덴 1990, pp38-64.
  24. 박은홍 2008, p21.
  25. 특히 장하준에게 이런 국가중심적 접근법은 그의 제도주의 경제학과 관련이 있다. 이에 대한 논의는 이정구 2011을 참고하시오.
  26. 장하준 2006, p251. 강조는 인용자.
  27. 장하준 2006, p234. 이 주장은 유교적 전통이 동아시아 경제성장의 요인이라는 주장을 반박한다는 측면에서는 완전히 정당하다.
  28. 1947년에 밀수 담배를 단속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소한 마찰이 국민당 관리들의 전횡에 맞선 대규모 민중운동으로 확산된 사건이다.
  29. “성공적인 아시아 신흥공업국들이 지주계급이 없는 도시국가이거나(홍콩과 싱가포르), 군대가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급진적 토지개혁을 실행에 옮길 준비가 되어 있는 나라들이었다(남한과 대만)는 것은 의미심장한 일이다.” 하먼 1994, p209.
  30. 국민당 정권은 토착 타이완인들이 장악하고 있는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 잠재적으로 국민당에 도전할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 한국과 달리 대기업이 성장하는 것을 억제했다. 대신 거대 규모의 핵심 산업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국영기업을 활용했다. “1990년 현재 대만의 국영기업이 전체 자본의 47퍼센트를 차지하고 있고, 국내총생산의 22퍼센트를 생산했다. 한국의 경우 1989년 현재 국영기업은 전체 자본의 12.6퍼센트, 국민총생산의 6퍼센트를 차지했다.” 신광영 1999, p39.
  31. 윤상우 2005, p82.
  32. “에반스의 지적대로 한국의 이승만 정권은 발전국가라기보다는 약탈국가에 가까운 시기였다.” 윤상우 2005, p50. 마찬가지로 “이승만 체제와 박정희 체제의 차이는, 전자의 경우 민중들로부터 수탈한 부를 흐리멍텅하게 낭비해 버렸다는 겁니다. 남미도 마찬가지고요. 그에 비해 박정희 시대의 국가는 자본이 노동자를 착취해 수탈한 부를 생산적인 방향으로 투자하도록 강요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장하준·정승일 2005, p53.
  33. 박은홍 2008, p29.
  34. 장하준 2006, p104. 강조는 인용자.
  35. “이승만 약탈국가에서의 관료 기구가 박정희 발전국가의 관료 조직과 질적으로 다른 것이었다고 볼 수 없다.” 윤상우 2005, p51.
  36. 조희연 2010, p53.
  37. 장하준은 “[1987년 투쟁 이후] 군부 통치의 결과로 나타난 정치적 불신으로 발전주의의 정당성이 급속히 약화되었”다거나 “재벌들은 국가가 점차 덜 개입하도록 만들었으며, 국가 개입이 지속되는 데 저항하는 정치적 힘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신장섭·장하준 2004, p118, p53.
  38. 조희연 2010, p104.
  39. 박은홍 2008, p25.
  40. 원조액 추산은 연구마다 약간씩 차이가 나는데, 예를 들어 최상오는 1957년에 GNP의 23퍼센트에 이르렀다고 평가한다.
  41. 조준현 2000, p65.
  42. 신광영 1999, pp57-58. 저발전국에 대한 미국의 전체 원조 가운데 64퍼센트를 동아시아의 반공 국가인 한국, 타이완, 필리핀이 받았다.
  43. 커밍스 2001, p426.
  44. 신광영 1999, p57.
  45. 해밀턴 1986, p275.
  46. 커밍스 2001, p433.
  47. “1960년 미국의 달러 채무의 총액은 187억 달러에 이르게 됐다. 그런데 무역수지만을 본다면 비록 흑자폭이 크게 감소하기는 했지만 1960년대 초까지는 아직 미국의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락한 것은 아니었다. 미국의 국제수지를 결정적으로 악화시킨 것은 막대한 군사적·비군사적 원조에서 비롯됐던 것이다.” 조준현 2000, p76.
  48.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수립과 실패, 그리고 수정 과정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기미야 다다시 2009와 이완범 1999를 참고하시오.
  49. 공제욱·조석곤 2005, p89.
  50. 공제욱·조석곤 2005, pp91-93.
  51. 해리스 1989, p81.
  52. “영국과 미국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국가가 경제 발전에 강력하게 개입하지 않고 산업화에 성공한 나라는 없다고 필자는 단언할 수 있다.(홍콩은 독특한 예외이다.)” 장하준 2006, p133.
  53. 해리스 1989, pp66-67.
  54. “어떤 나라들에서는 수입대체 단계에서 국제경쟁을 수행할 능력을 충분히 키우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하먼 1994, pp209-210.
  55. 해리스 1989, p166.
  56. 하먼 1994, p207.
  57. 예를 들어, 브라질의 주요 수출품인 커피는 1929년 공황 발생 후 2년 만에 가격이 60퍼센트나 하락했다. 해리스 1989, p89.
  58. 하먼 1994, pp207-208.
  59. 山崎春成 1984, pp278-279.
  60. 예를 들어 멕시코의 주요 수출품인 “원유의 가격은 1920년대의 1배럴당 12달러 80센트에서 1960년대 초에는 1달러 60센트까지 폭락했다. 이것은 명목가격으로도 1920년대의 8분의 1에 불과할 뿐 아니라 달러의 구매력을 기준으로 하면 40분의 1로 하락한 것이다.” 조준현 2000, p92.
  61. 하먼 1994, p209.
  62. 조준현 2000, pp104-105.
  63. “라틴아메리카는 수입대체화의 대륙이었다. … 보호벽 안쪽에서 국민과 기업 들은 국내시장을 겨냥한 생산에 몰두하여 광범위한 인적·정치적 연계망을 건설하였다. 그러므로 1960년대에 전 세계가 이들 나라에게 무역 장벽을 걷어내고 수출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을 때, 문제는 기존의 경제 전략을 중심으로 성장한 이해관계의 두꺼운 연계망을 어떻게 무너뜨리는가 하는 것이었다.” 커밍스 2001, p438.
  64. 조준현 2000, pp39-40.
  65. 조준현 2000, p36.
  66. 해리스 1989, p94.
  67. “이 차관은 거의 조건 없이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손쉬운 방법이었기 때문에 매력적이었다. 은행 입장에서 보자면, 아르헨티나, 멕시코, 브라질 같은 나라들에 차관을 제공하는 것은 자신들의 석유 달러 예금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었다. 또한 이 국가들에서는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차관을 충분히 갚을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헬라이너 2010, p219.
  68. “이 기간 동안 브라질에서 신용 확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이 전통적인 수입대체산업화 부문과 농업 부문이었다는 사실은 이 시기 브라질의 성장 전략이 기본적으로는 여전히 수입대체인 것이었음을 말해 준다.” 조준현 2000, p110.
  69. “멕시코에서도 인플레이션과 재정 적자는 수출 특혜 신용이나 수출 보조금 등 수출 유인 제도들의 폐지를 가져왔으며, 기업들은 수출에서보다 국내 판매에서 보다 많은 보호를 제공받았다.” 조준현 2000, p112.
  70. 해리스 1989, pp93-94.
  71. “미국 경제정책의 갑작스런 변화로 말미암아 1971∼80년대 동안 평균 0.8퍼센트였던 은행 대부의 실질 이자율은 1982년 11퍼센트로 급등했다.” 헬라이너 2010, p219. 그러나 이런 전환이 ‘금융자본의 쿠데타’이거나 신흥공업국들을 굴복시키려는 ‘선진국의 음모’인 것은 아니다. “1978∼79년 달러 위기 때 다른 나라 정부들과 민간 투자가들은 별안간 미국의 경제정책에 대외적 규율을 부과하려 했다. 이런 새로운 대외적 구속에 직면해, 미국은 정책 자율성과 금융 개방 가운데 하나를 택할 수밖에 없었다. 국제금융의 압력이 부과하는 규율을 따르기로 한 결정은 후자의 선택을 반영한 것이었다.” 헬라이너 2010, p170.
  72. 하먼 1994, p212.
  73. 게다가 “미국 CIA 정보에 따르면, 1961년에서 1965년까지 일본 회사들이 한국 집권당 예산의 3분의 2를 제공했는데, 6개 기업들이 6,600만 달러라는 엄청난 액수를 기부했다.” 커밍스 2001, p450.
  74. 정성진 2005, p113. “한국인들은 몇 달간의 협상 끝에 미국 정부로부터 1개 사단당 750만 달러로 추정되는 거대한 현금 및 원조 약속을 받아냈다. 효력을 보장한 이 문서는 1966년 3월 4일의 이른바 브라운 비망록인데, 이에 따라 미국이 지불한 약 10억 달러가 1965∼70년 사이에 한국에 들어왔다. 학자들은 이 협약에 따른 수입이 1966∼69년 기간 한국의 연간 국내총생산의 7∼8퍼센트, 총 외화수입의 19퍼센트까지 차지한다고 추정했다.” 커밍스 2001, pp452-453.
  75. 신광영 1999, p62.
  76. 정성진 2005, p116.
  77.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오일쇼크로 불황을 닥쳤을 때도 아시아 국가들은 새로운 자금 조달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바로 “중동 특수”다. 1975년 이후 중동 국가들이 석유 달러 유입 확대로 이를 대규모 건설 공사에 투자할 때 아시아 각국의 노동자 3백20만 명이 중동으로 갔다. 한국 정부는 노동력 수출 과정을 통제하고, 기업이 중동 지역에서 계약을 수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시에 인력 수출 정책을 산업 수출 촉진 전략의 하나로 조율했다. 중동으로 일하러 간 노동자들은 1974년 3백95명에서 1982년에는 17만 2천9백68명으로 늘었는데, 이는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17퍼센트, 전체 피고용자의 4퍼센트에 해당한다. 이 덕분에 높은 실업의 압력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노동자들의 대규모 송금 덕분에 1977년에는 일시적으로 국제수지 흑자를 기록하는 등 무역수지를 개선하는 데도 기여했다.
  78. “세계 자본의 맥락에서 한국이 누리는 특권적 위치는 1980년대 중반에 3,800만 인구에 200억 달러가 넘는 주요 신흥공업국가 중에서 가장 큰 차관 수령국이라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브라질은 1억 1,500만 인구에 550억 달러의 외채, 멕시코는 6,800만 인구에 265억 달러의 외채가 있다.)” 할리데이 1986, p240.
  79. 커밍스 2001, p445.
  80. 신광영 1999, p57.
  81. 커밍스 2001, p467. 한국 정부는 60억 달러를 요청했지만, 일본 정부는 정부차관 18억 5천만 달러와 일본 수출입은행 융자 21억 5천만 달러를 제공했다. 中川信義 1984, p113. 1997년 외환 위기 직전에 미국이 일본의 지원을 차단했던 것과는 차이가 난다.
  82.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민간 자산은 각국이 진 대외 채무와 거의 동일하거나 몇몇 경우에는 이를 초과했다.” 헬라이너 2010, p227. 따라서 자본 도피를 막을 수 있었다면 외환 위기를 해결하기 쉬웠을 것이다.
  83. 윤상우 2006, p67.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