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집 1:민주주의의 성격을 묻는다

민주주의 ─ 사실과 물신숭배 *

MARX21

  • 출처: Donny Gluckstein, Democracy: fact and fetish, International Socialism, 136(Autumn 2012)

  1. Miliband, 2004, p68.
  2. Lenin, 1976, p22.
  3. Howard, 1971, p84.
  4. Ober, 1996, p5.
  5. Davies, 2004, pp260-286.
  6. Ober, 1996, p23.
  7. Jones, 1969, pp99-101.
  8. Davies, 2004, p18.
  9. Jones, 1969, p17.
  10. Wood, 1988, p61.
  11. Ste Croix, 1983, p141.
  12. Wood, 1988, p43.
  13. Meiggs, 1972, p439.
  14. Claster, 1967, p44에서 재인용.
  15. Meiggs, 1972, p264에서 재인용.
  16. Meiggs, 1972, p258.
  17. Ma, Papazarkadas and Parker, 2009, p215.
  18. Jones, 1969, p131.
  19. Ober, 1996, p90.
  20. Jones, 1969, pp91-92.
  21. Molyneux, 2012.
  22. Bémont, 1930, p231.
  23. Bémont, 1930, p216.
  24. Bémont, 1930, p227.
  25. 1,170,400명 중 212,200명 — Morton, 1979, p212.
  26. Manning, 1976, pp152-153.
  27. Manning, 1976, p96.
  28. Manning, 1976, p98.
  29. Manning, 1976, p109에서 재인용.
  30. Hill, 1972, p63에서 재인용.
  31. Manning, 1976, p216에서 재인용한 존 호섬(John Hotham)의 말. 호섬 부자는 원래 요크셔에서 왕에 맞선 중심적 구실을 했지만, 평화가 이뤄지지 않자 왕당파 쪽으로 넘어갔다.
  32. Hill, 1972, p71에서 재인용.
  33. Foot, 2005, p28에서 재인용.
  34. Foot, 2005, p28.
  35. 수평파가 모든 남성을 포함하는 보통 선거를 요구했는지, “중간 부류”만을 대상으로 한 선거를 요구했는지는 논쟁이 있다. 폴 풋(Foot, 2005)과 A L 모튼(Morton, 1979)은 전자라고 주장한다. 브라이언 매닝은 이견을 제시한다. “수평파는 자신들이 살던 가부장제 사회의 전제들에 도전하지 않았다. 투표는 가구 단위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었고, 이는 남성 가장이 자신의 하인과 견습생, 아내와 아이들을 대신해 투표하는 것이었다.”(Manning, 1976, p311). 어떤 점에서 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중간 부류”는 진정으로 자신들의 이익이 보편적이라 믿었는데, 하층 계급과 여성이 자신들의 염원을 명료하게 표현하기 어려운 시기에 이는 타당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부르주아 혁명이 낳은 여러 가능성을 보여 주는 다른 징표도 있었다. 예를 들어, 디거파(The Diggers, 공유지를 경작하던 빈민이라는 뜻)는 수평파보다 훨씬 더 멀리 나아갔고 토지의 공동 소유를 주장했다. 프랑스 혁명 기간에도 앙라제(engragé), 바뵈프의 “평등파의 음모” 등이 비슷한 종류의 급진적 강령을 제시했다.
  36. Hill, 1972, p105에서 재인용.
  37. Aylmer, 1963, p162.
  38. Foot, 2005, p72에서 재인용.
  39. Bronterre O’Brien, Foot, 2005, p96에서 재인용.
  40. Foot, 2005, p137에서 재인용.
  41. Foot, 2005, p236.
  42. Trotsky, 1974, volume 1, pp21-22.
  43. Cliff and Gluckstein, 1988, p382.
  44. Lenin, 1993, pp67-68.
  45. Thyssen, 1941, p62.
  46. 마르크스가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말한 보나파르티즘도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마르크스는 어떻게 부르주아가 위기의 특정 국면에서 직접 통치하기를 자발적으로 포기하는지를 설명한다.
  47. Marx and Engels, 1976, p495.
  48. Kapp, 1976, p323.
  49. The Miners’ Next Step, 1973, p30.
  50. The Miners’ Next Step, 1973, p15.
  51. The Miners’ Next Step, 1973, p30.
  52. The Miners’ Next Step, 1973, p31.
  53. The Miners’ Next Step, 1973, p30.
  54. Murphy, 1972, pp13-14.
  55. Murphy, 1972, p18.
  56. Murphy, 1972, pp14-15.
  57. Cliff and Gluckstein, 1986, p34에서 재인용.
  58. Margaret Thatcher, Hansard, House of Commons debate, 11 February 1982.
  59. John Browne (Tory MP for Winchester) in Hansard, House of Commons debate, 22 April 1980.
  60. Simons, 2004, pp9-10.
  61. Cliff, Harman, Hallas and Trotsky, 1996.
  62. 아나키즘의 정당 조직 비판과 그 비판의 약점을 다룬 논의로는 Molyneux, 2011을 보시오.
  63. Ness and Azzelini, 2011을 보시오.
  64. Trotsky, 1974, volume 3, p185.
  65. Lenin, 1964, volume 26, p334.
  66. Service, 1997, p94.
  67. Service, 1997, p97.
  68. Service, 1997, p97.
  69. 토대와 상부구조 사이의 상호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Harman, 1986을 보시오.
  70. Kritsman, 1971, p257.
  71. Cliff, 1978, p90.
  72. Cliff, 1978, p178.
  73. www.marxists.org/archive/marx/works/1852/18th-brumaire/ch01.htm
  74. 강조는 나의 것. 미국 사회주의노동자당 설립 이전인 1937년 12월 미국 내부 회보에서.(www.marxists.org/archive/trotsky/1937/xx/democent.htm)
  75. Cliff, 1975, p249.
  76. www.marxists.org/archive/trotsky/1937/xx/democent.htm
  77. 이것은 몽테스키외가 프랑스 혁명 전에 발전시킨 “3권분립”이라는 고전적 개념과 대비된다. 마르크스는 《프랑스 내전》에서 파리 코뮌이 입법과 집행을 통합한 것을 두고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의 특징이라고 찬양했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