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레닌의 사상과 실천, 그리고 21세기 레닌주의

실천가들을 위한 레닌주의 입문

MARX21

  1. Chomsky 2013.
  2. 클리프 2004, p22.
  3. 클리프 2004, p34.
  4. 캘리니코스 2011, 1장 ‘고전 마르크스주의의 유산’을 참조하시오.
  5. Hallas 핼러스는 중간주의자들이 치머발트 반전회의를 주도했다고 평가한다. 참전하고나서도 중간주의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었다.” 레닌은 원칙을 굽히지 않고 고수하면서도 당시 상황을 고려해 전술적 유연성을 발휘했다. “[레닌의 혁명적 패전주의] 결의안이 표결에서 패배했지만, 레닌은 치머발트 반전회의를 ‘첫걸음’이라고 규정했고, 볼셰비키를 포함한 좌파들은 자신들이 제출했지만 부결된 결의안을 출판하는 것뿐 아니라 다수파의 선언문에도 찬성했다. 선언문은 ‘모든 나라의 자본가들은 전쟁이 조국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공표했다.”
  6. Hallas 1985. 이와 관련해서는 강동훈 엮음 2016의 김영익, ‘부정확하기 이를 데 없는 한반도 주변정세 인식’을 참조하시오.
  7. 캘리니코스 1993을 참조하시오.
  8. 캘리니코스 2010, p51.
  9. 프랑스 신디컬리스트였다가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자가 됐다.
  10. 클리프 2013, p76.
  11. 레닌 1992, p19. 강조는 원문.
  12. 클리프 2013, p77.
  13. 클리프 2009, p92.
  14. 클리프 2010, 5장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은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에 관해 레닌,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견해와 개념을 아주 명쾌하게 정리해 놨다.
  15. 드레이퍼 2014.
  16. Lih 2010, p450에서 재인용.
  17. Chomsky, 2013, Chomsky 1986, 촘스키 2007.
  18. 박노자 2008, p132.
  19. 박노자 2008, p138.
  20. 클리프 2010, p252.
  21. 류한수 2008, p174. 류한수 교수는 1917년 7월부터 10월까지 러시아 혁명 기간을 다룬 알렉산더 라비노비치의 역작 《혁명의 시간러시아 혁명 120일 결단의 순간들》(교양인, 2008)과 아나키스트였다가 볼셰비키가 된 혁명가 《빅토르 세르주 평전》(실천문학사, 2006)을 번역했다.
  22. 이 글에서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 상황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최일붕 2007을 참조하시오.
  23. 클리프 2004, p12.
  24. 최일붕 2015. 강조는 원문.
  25. 클리프 2009, p227.
  26. 클리프 2013, p86.
  27. 클리프 2009, pp231~232.
  28. Birchall 2014.
  29. 강동훈 엮음 2016을 참조하시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