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논쟁

러시아혁명 100주년

낙동강 오리알 신세인 1917년 10월혁명 *

현재적 의미는 무엇인가?

MARX21

  •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의 유럽학 교수이자 《인터내셔널 소셜리즘》의 편집자이다.

    출처: Alex Callinicos, ‘The orphaned revolution: the meaning of October 1917’, International Socialism 156(Autumn 2017)

  1. 부활절 봉기의 실제와 위선에 대해서는 Allen, 2016을 보시오. 1640년대의 영국 혁명은 1917년 10월혁명과 마찬가지로 그 중요성이 정치 엘리트에 의해 대체로 부인당한다. 역사학계에서 “수정주의”가 승리한 덕분에 영국 혁명은 종교적·헌법적 분쟁으로 잘못 소개된다. Haynes and Wolfreys (eds), 2007은 위대한 혁명들의 중요성이 역사 서술에서 축소되는 더 넓은 상황을 비판한다. 이 논문 초안을 읽고 의견을 준 조셉 추나라, 케빈 코어, 제임스 이든, 존 로즈, 카밀라 로일에게 감사한다.
  2. Osborn, 2005.
  3. Matthews, 2017.
  4. 다음 사이트로 가시오. https://twitter.com/BraddJaffy/status/884525634751524865/video/1
  5. Figes, 1996, 특히 Pipes (ed), 1996. Lih, 2001은 파이프스의 학자적 명성을 무너뜨린다.
  6. Brenton (ed), 2016.
  7. Figes, 2016, p141. 이 매우 형편없는 논문 모음집에서 예외 사례는 러시아 혁명의 지정학적 맥락을 특유의 날카로움으로 분석한 도미닉 리벤의 글이다. Lieven, 2016을 참고하시오.
  8. Fitzpatrick, 2017, 그리고 Brenton, 2017.
  9. Harvey, 2014, p91.
  10. Hobsbawm, 1994, pp4, 9.
  11. Hobsbawm, 1994, p498. 《극단의 시대》와 2002년 출판된 홉스봄의 자서전[《미완의 시대》, 민음사, 2007]에 대한 서평 격 논문에서 페리 앤더슨이 홉스봄의 역사적·정치적·개인적 모호함을 상세히 다룬다. Anderson, 2002a와 2002b를 참고하시오.
  12. Bensaïd, 2003a. 이 문헌의 기원은 2000년대 초 반자본주의 운동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프랑스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과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 사이에 벌어졌던 논쟁이다. 벤사이드는 이 글을 2002년 나에게 보내는 편지로 썼고,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의 지도자들(레온 크레미유, 프랑수아 뒤발, 프랑수아 사바도)이 함께 서명했다. 내가 이 글을 영어로 번역했는데 그것은 International Socialist Tendency Discussion Bulletin No. 2, January 2003에 실렸다.
  13. Cliff, 2003, Harman, 1990, Callinicos, 1991.
  14. 러시아 혁명을 매우 훌륭하게 분석한 것으로는 Sherry, 2017을 보시오.
  15. Trotsky, 1975, pp202, 203.
  16. 특히 Broué, 2004, Harman, 1983, Riddell (ed), 2015를 보시오.
  17. 예를 들어 Bensaïd, 2002와 Bensaïd, 2003b. 벤사이드의 정치 사상을 다루며 나는 그에게 레닌이 중요했음을 강조했다. Callinicos, 2012.
  18. Lih, 2006, Shandro, 2014, Krausz, 2015, Ali, 2017, 그리고 Molyneux, 2017. 이 “레닌의 부활”의 시작은 거의 틀림없이 2001년 에센에서 슬라보에 지젝이 조직한 레닌 관련 컨퍼런스일 것이다. 벤사이드와 나의 것을 포함한 자료집은 Budgen, Kouvelakis and Žižek (eds), 2007이다.
  19. Žižek (ed), 2002, 이 책은 레닌에 관한 지젝의 논의가 가장 충실히 담긴 책일 것이다. 1917년 레닌이 쓴 글 일부도 수록돼 있는데 유용하다. 지젝의 레닌 해석에 대한 비판으로는 Callinicos, 2001, pp391-397과 Callinicos, 2007을 보시오.
  20. Luxemburg, 1908.
  21. Addison, 1977, Fenby, 2011, chapter 16.
  22. Cliff, 1963.
  23. Krausz, 2015, p363.
  24. Krausz, 2015, p89. 1917년 이전 레닌의 사상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특히 농민 문제에 관한 이해가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해서는 Shandro, 2014가 상세히 다룬다.
  25. Trotsky, 2017, p5. Trotsky, 1973도 보시오. 마샬 포는 다소 비슷한 역사적 전망을 제공한다. 포는 16세기 이후로 러시아 국가는 유럽으로부터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고 서유럽의 선진 경쟁국들을 본뜬 근대화 개혁을 독재적으로 시행한 덕분에 서방의 지배를 피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Poe, 2003.
  26. Trotsky, 2017, p4.
  27. 이와 관련해서, 그리고 후발 제국인 러시아의 정치경제에 대한 더 많은 자료는 Smith, 2017, chapter 1에서 보시오.
  28. Stone, 1983, pp86-87. 더 일반적으로는, 이 책의 특히 탁월한 부분인 첫 두 장을 보시오.
  29. Stone, 1983, p144.
  30. 최근에 나온 중요한 역사 연구로는 Clark, 2013, Tooze, 2014, Lieven, 2015가 있다. 셋 모두 제1차세계대전의 발발에서 러시아가 중요한 구실을 했음을 강조한다. Tooze의 책은 볼셰비키의 이론과 전략을 진중하게 다룬다는 면에서 독특하다. Stone, 2008은 러시아 내전에 관한 고전적 분석이다.
  31. Smith, 1983과 Murphy, 2005는 러시아 금속 노동자에 대한 필수적인 연구 결과를 제공한다. 서방에 대해서는 Broué, 2004, Hinton, 1973, Gluckstein, 1985를 보시오.
  32. Trotsky, 2017, pxvi.
  33. Rabinowitch, 2017, p311. 라비노비치가 어떤 면에서도 볼셰비키 옹호자가 아님을 강조해야겠다. 레닌과 트로츠키는 소비에트 내 정당을 모두 아우르는 연립정부를 구성 ― 그리 했다면 내부 다툼으로 마비된 소비에트 정부에 맞서 반혁명이 승리하는 것이 확실했을 것이다 ― 하자는 데 반대했는데, 라비노비치는 이에 매우 비판적이다
  34. Lenin, 1964c, pp262, 263.
  35. Nolte, 1987.
  36. 러시아 내전에 관한 대체로 공정한 서술로는 Smith, 2017, chapter 4를 보시오. 또한, 혁명적 테러의 증가 속에서 반혁명적 폭력이 권력으로 형성돼 가는 과정을 폭넓게 다룬 것으로는 Mayer, 2000을, 볼셰비키를 방어하는 것으로는 Rees, 1991을 보시오. Pirani, 2008은 1920년대 초 볼셰비키가 점점 노동자 계급으로부터 괴리되고 있었음을 다룬 최신 연구 결과이다.
  37. Lenin, 1964d, p64.
  38. Gramsci, 1975, II, pp865-867.
  39. 특히 Gramsci, 1978.
  40. Lenin, 1964d, p30.
  41. Callinicos, 1977과 Gluckstein, 1985를 보시오
  42. 라스 리의 레닌 해석에 관한 방대한 소개와 비평으로는 Corr and Jenkins, 2014를 보시오.
  43. Cliff, 1975-1978.
  44. Kautsky, 1909, p50.
  45. Shandro, 2014, p99.
  46. Žižek (ed), 2002에 수록된 글들에서 매우 분명하게 나타난다.
  47. Lenin, 1964a, p23. 4월 테제의 중요성을 삭감하려는 라스 리의 시도를 비판한 것으로는 Corr, 2017을 보시오..
  48. 이 과정은 Rabinowitch, 2017에 상세히 묘사돼 있다.(그 결과에 대해서는 pp310-311을 보시오).
  49. Lenin, 1964b, p88.
  50. Callinicos, forthcoming.
  51. Smith, 2017, pp391-392.
  52. Kautsky, 2011.
  53. Robbins, 1934, p1.
  54. Smith, 2017, p388.
  55. Harman, 1983.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