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독자 투고

코로나19, 이주민, 한반도 단일 민족 신화

MARX21

  1. 이희근 2018, p13.
  2. 이희근 2018, p.97
  3. 이희근 2018, p14.
  4. 권오영 2020, p218~231. 그는 이 책에서 특히 중앙아시아와 한반도 고대 국가들 사이의 소통 교류 역사에 주목한다. 동아시아가 한중일 관계로 환원된다면 그는 동아시아 역사가 반쪽짜리 역사 서술에 그친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를 다양한 유적 유물의 사례를 들어 방증하고 있다.
  5. 이희수 2014, 《쿠쉬나메》, 청아출판사.
  6. 이희근 2018, p118.
  7. W.F. 샌즈.1999, p.41.
  8. 이희근 2013, p.22에서 재인용.
  9. 이준구 2000, ‘조선시대 백정의 전신 양수척 재인·화척·달단’, 《조선사연구》 9.
  10. 이희근 2013, p.270.
  11. 같은 책, p256.
  12. 김태웅 2016, p.44
  13. 김태웅 2016, p.98.
  14. 캘리니코스 2020, p.87.
  15. 김태웅 2016, p.126.
  16. 이희근 2018, p.228〜229.
  17. 이성시 2001, p.162.
  18. 이에 대해서는 김한규 2015, 《천하국가》, 소나무에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