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가자본주의론의 역사와 의미

MARX21

  1. The Economist, Jan 21st 2012.
  2. Ferguson 2012.
  3. 레이모 2015.
  4. 브레머 2011, p13.
  5. 브레머 2011, p82.
  6. The Economist 2012.
  7. Ferguson 2012.
  8. 자본과 국가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하먼(2015)과 캘리니코스(2011a)의 제2장을 참고하라.
  9. Harman 1987, p63.
  10. Liebknecht 1896.
  11. 엥겔스 1988, p298.
  12. 엥겔스 1988, p299.
  13. 국가자본주의의 등장에 대한 평이한 설명은 추나라(2010, 80~184쪽)를 보라. 국가자본주의의 의미뿐 아니라 옛 소련 블록과 북한 등을 국가자본주의로 설명한 글을 모은 책으로는 국제주의 전통 자료집 제4권 《국가자본주의》(책갈피, 2018)가 매우 유용하다.
  14. 린던 마르셀 판 데르 2012, 72쪽에서 재인용. 이 책의 한글 번역은 너무 형편없어서 가능하다면 영어본을 추천한다. Linden, Marcel Van der 2007, pp49~50.
  15. 평의회 공산주의자들은 1920년대 초반에 레닌이 러시아를 국가자본주의라고 언급한 것을 근거로 러시아에서 자본주의 체제가 1920년대 초반에 등장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는 레닌이 말한 국가자본주의의 의미를 잘못 이해한 것이다.
  16. 비슷한 시기에 또 다른 초좌파 정치 경향으로 이탈리아의 아마데오 보르디가가 있다. 하지만 보르디가는 자본주의 국가가 당의 독재로 대체돼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평의회 공산주의자로 분류되지 않고 보르디가주의로 불린다. 보르디가는 1917년 러시아혁명을 반봉건적 부르주아 혁명으로 봤고, 따라서 1917년을 전후로 러시아가 자본주의로 이행한 것으로 생각했다. 보르디가는 자본주의를 착취와 착취 계급의 존재보다는 상품 생산으로만 매우 협소하게 이해했다. 그런데 소련의 경우 상품을 생산하는 자본가 계급은 존재하지 않고 국가가 이를 대체했다고 생각했다.
  17. Fernandez 1997, pp46~47.
  18. Rühle 1924.
  19. 한국에도 평의회 공산주의 입장을 따르는 조직이 있긴 하지만, 정치적 존재감은 없다.
  20. Mattick 1969, p289.
  21. Mattick 1969, p284.
  22. Harman 1987, p127.
  23. 2007년에 필맥 출판사에서 번역 출판했다.
  24. 캘리니코스 1994, pp94~97.
  25. 마르크스 2015, 855쪽.
  26. 린던, 마르셀 판 데르 2012, 233-242쪽. Linden, Marcel Van der 2007, pp183~192.
  27. 한국어 번역본은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책갈피, 2011)다.
  28. 알렉스 캘리니코스(2011b)와 데렉 하울(2011)은 소련에 노동력 시장이 존재하고 가치법칙이 작동했음을 보여 줬다.
  29. 마이클 키드론과 크리스 하먼이 클리프의 주장을 정교화해 상시군비경제 이론을 발전시켰다.
  30. Gluckstein 1957, p315.
  31. 소련과 동유럽 몰락의 의미와 현대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을 이해하는 데서 《오늘의 세계경제: 위기와 전망》에 실린 크리스 하먼의 논문들(‘국가와 오늘의 자본주의’, ‘자본주의는 어디로 가는가? 1부 및 2부’)과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역사의 복수》가 매우 유용하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