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 차별, 사회주의, 국가

동구권의 여성들 *

MARX21

  • 출처: McGregor, Sheila 2021, Sexism, socialism and the state: women in the Eastern Bloc, International Socialism 170, (Posted on 15th April). 실라 맥그리거는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당원으로 오랫동안 활동해 왔고, 현재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편집위원이다.

  1. 많은 동지들이 이 글의 초안을 읽고 사려 깊은 조언을 해 줘 글의 상당 부분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조셉 추나라, 케이트 데. 이비슨, 자키 프리먼, 가레스 젠킨스, 로지 뉘닝, 커밀라 로일, 토마시 텡글리-에반스에게 감사한다. 물론 최종 결과에 대한 책임은 나에게 있다.
  2. “국가사회주의”라는 용어는 여러 스펙트럼의 사회 체제를 가리키는 말인데, 스웨덴 같은 선진적 복지 국가를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 모델에서부터 동구권의 관료적 국가자본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가 이 용어에 포괄된다. 그러므로 매우 느슨한 정식화이며, ‘공산주의 체제로 전환하는 일환으로 노동계급의 국가 통제’를 뜻하는 마르크스주의의 “노동자 국가” 개념과는 다른 말이다.
  3. Grabowska 2020.
  4. Ghodsee 2014 and 2018, Ghodsee and Lišková 2016, Lišková 2018, Neuburger 2004, Simic 2018을 보라. 초기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아 체코슬로바키아 여성을 분석한 것은 Heitlinger, 1979를 보라. 관료적 국가자본주의 관점에서 동독 사회를 분석한 것은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를 보라.
  5. Cliff 1988. 제4인터내셔널의 공식 지부 국제마르크스주의그룹IMG 지지자가 상당히 많던 시기에 국제사회주의경향IST의 회원이었다면, 내가 이 글에서 전개할 가족과 여성 차별에 관한 주장을 어디선가 본 듯할 것이다. 하지만 Gluckstein 1952, Harman 1974 또는 Harman 1988에는 이 내용들이 담겨 있지 않다. 클리프의 《스탈린의 유럽 위성국가》가 그의 본명인 이가엘 글럭스틴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된 점을 주의하라.
  6. 클리프와 하먼 모두 동구권의 민족주의와 종교에 관해 논했다. Gluckstein 1952, Harman 1974, Harman 1988을 보라. 그러나 클리프와 하먼 모두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의 이슬람과 무슬림 인구에 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이 글에서 나는 관련 분석을 다룰 것이다.
  7. Trotsky, 1970 and Trotsky, 1972a.
  8. Marx 1867.
  9. 스탈린이 1917년 유산을 어떻게 파괴했는지에 관한 완전한 설명은 Harman 1967을 참조하라.
  10. Trotsky 1972a, pp151-152.
  11. 그럼에도 소련에는 임금·주택 등을 둘러싼 노동자들 사이의 경쟁이 여전히 존재했다. 1931년 4월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스탈린의 연설을 참조하라 — Stalin 1953, pp454-458.
  12. 1931년에 스탈린은 이렇게 주장했다. “우리는 선진국에 50년, 아니 100년 뒤처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 차이를 10년 안에 좁혀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우리는 파괴될 수밖에 없습니다.” — Stalin 1953, p458.
  13. [동구권 지배자들이] 러시아 혁명의 전통을 왜곡하는 것은, 서방 지배자들이 억압적 조처를 민주주의·평등·자유라는 말로 포장하는 것과 꼭 마찬가지였다.
  14. 제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1945년 얄타 회담에서 스탈린과 윈스턴 처칠은 유럽 분할 계획을 합의했다. 1948년에는 공산당이 동구권 국가들을 접수했다. 이후 각국 공산당들은 소련식 5개년 계획을 도입하고 산업 생산을 소련의 필요에 맞췄다. 변화는 기존 국가 체계를 이용해 위로부터 이뤄졌고, 이 과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 수사가 동원됐다. 소련 정부에 발탁돼 훈련받고 소련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동유럽 각국 공산당을 이끌었다. 유고슬라비아는 이런 패턴의 부분적 예외였다.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스탈린주의화 과정을 겪었지만, 요시프 티토는 제2차세계대전 당시 반파시즘 유격 투쟁에서 지도적 구실을 한 덕분에 소련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지 기반을 가질 수 있었다. 티토는 이를 이용해 대통령이 됐다.
  15. 더 총체적인 분석은, 토니 클리프의 《러시아 국가자본주의》 1988년판에 실린 하먼의 후기를 참조하라. https://www.marxists.org/archive/cliff/works/1955/statecap/postscript.htm
  16. 트로츠키는 1936년 저작 《배반당한 혁명》에서 7장 “가족, 청년, 문화”를 여성이 겪은 후퇴를 다루는 데에 할애해, 혁명의 배반이 미친 영향을 생생히 보여 준다. 클리프는 소련에 관해 분석하며 가족을 다루지는 않았지만, 《계급투쟁과 여성해방》 9장에서 이를 다뤘다. 트로츠키의 기여가 상당하다고 생각하는 한 역사가가 있는데 바로 폴 긴스버그다 — Ginsborg 2014를 보라.
  17. Trotsky 1970, p45.
  18. Trotsky 1970, p42.
  19. Trotsky 1970, p20.
  20. Trotsky 1970, p20.
  21. Lišková 2018, pp5, 34, 51, 68, 76-77.
  22. 예컨대 체코슬로바키아는 자본재 공급자가 돼, 석탄 채굴, 금속공학, 중공업 분야를 확장했다. 이 때문에 주택, 간편식품, 현대 가전 등 소비재 산업이 타격을 입었다. Heitlinger 1979, p138.
  23. Ghodsee and Mead 2018, pp113-114.
  24.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25. Heitlinger 1979, p19.
  26. Heitlinger 1979, p19.
  27.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
  28. Engelhardt und Maienreis 2015, p172.
  29.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174.
  30. Heitlinger 1979, p148.
  31. Heitlinger 1979, p151.
  32. Heitlinger 1979, p60.
  33. Simic 2018, p95.
  34. Simic 2018, p96.
  35. Simic 2018, p50. 티토가 스탈린과 결별한 이후, 노동자들의 위원회 선출 과정 등에서 공장 간 경쟁이 도입됐다. 이 위원회들은 회사를 이끌 경영이사회를 지명하는 과정에서 서로 경쟁을 했다 — Harman, 1974를 보라, pp236-239.
  36. Simic 2018, pp103-106.
  37. Simic 2018, p101.
  38.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185. 기숙학교는 고아, 한부모 가정 아동, 교대 노동자들에게 가정과 같은 구실을 했다. 이 학교들은 의료진의 감독하에 운영됐다.
  39. Heitlinger 1979, 16장과 Lišková 2018, 4장.
  40. 대규모 탁아소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기들을 위한 소규모 탁아소도 존재했다.
  41. Heitlinger 1979, pp136-137과 Lišková 2018, p70을 보라.
  42. Heitlinger 1979, p139.
  43. Lišková 2018, p70.
  44. Heitlinger 1979, p139.
  45. Heitlinger 1979, p141.
  46. Heitlinger 1979, p143.
  47. Altintas and Sullivan 2016.
  48.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66.
  49.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74.
  50. 방과후 돌봄교실(“슐호르테”)은 적절한 자격을 갖춘 성인들의 감독하에 아이들이 숙제를 끝내고 집에 갈 때까지 놀 수 있도록 했다.
  51.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175.
  52. Simic, 2018, pp101-110.
  53. 소비에트 러시아는 1920년에 유럽 국가들 중 최초로 낙태를 합법화했다. 하지만 1936년 스탈린 체제하에서 낙태금지법이 새로 제정됐다. 1955년 소련에서 낙태가 다시 합법화됐고, 1956년에는 불가리아·폴란드·헝가리에서, 1957년에 체코슬로바키아에서, 1972년에 동독에서 낙태가 합법화됐다.
  54. Heitlinger, 1979, pp186-187.
  55. Lišková, 2018, pp116-117.
  56. Heitlinger, 1979, p184-185.
  57. Heitlinger, 1979, p185.
  58. 조세 혜택은 그 효과가 모순적이었다. 아이를 낳을 때마다 세금 감면이 있었지만, 감세 혜택은 자녀의 수가 늘수록 줄었다. 고소득층에 대한 감세 혜택이 더 컸다.
  59. 소련은 1968년 8월 ‘프라하의 봄’을 진압한 뒤 알렉산드르 둡체크를 제거하고 후사크를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제1서기로 세웠다.
  60.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176.
  61.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178.
  62. Simic, 2018, p66. 새 헌법은 1936년 소련 헌법에 바탕을 뒀는데, 가족 내 여성
    Simic, 2018, p66. 새 헌법은 1936년 소련 헌법에 바탕을 뒀는데, 가족 내 여성의 구실에 관한 규정 등 부정적 요소들을 그대로 따왔다.
  63. Simic 2018, pp66-69.
  64. Simic 2018, pp73-75.
  65. 유고슬라비아청년단은 15세 이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직이었다. 7~15세 아동을 위한 조직은 유고슬라비아선구자단이었다.
  66. Simic 2018, pp180-188.
  67. Simic 2018, p189.
  68. Simic 2018, pp190-196.
  69. Simic 2018, p203.
  70. Lišková 2018, p111. 이 연구는 국가인구위원회가 한 것이었다.
  71. Heitlinger 1979, pp184-185.
  72. 1980년대 이전에 주된 이혼 사유는 주거 환경, 친인척과의 공동 거주, 병역 복무, 가정 바깥에서 이뤄지는 여성 노동이었다 — Lišková 2018, pp.195-196.
  73. Lišková 2018, pp200-203. 성 생활 불만족의 이유는 남성과 여성이 달랐는데, 여성은 불만족이 점차 커진다고 말했다.
  74. Lišková 2018, pp190-192.
  75. Engelhardt and Maienreis 2015, p182.
  76. McGregor 1989.
  77. Lišková 2018, pp35-48.
  78. Lišková 2018, pp122-123.
  79. McGregor 1989.
  80. 스티브 험프리스는 영국성연구에서 얻은 정보로 이를 뒷받침했는데, 어느 해의 조사를 차용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 Humphries 1991, 7장.
  81. Humphries, 1991, p107. 자난 가네시는 리틀 리처드에 관한 글에서 비슷한 주장을 했다 — Ganesh 2020.
  82. Ghodsee 2018을 보라.
  83. Crouch 2006.
  84. Gluckstein 1952, 9장을 보라.
  85. 마르크스는 《헤겔 법철학 비판》서문에서 이 점을 분명히 했다.
  86. 실제로 몇몇 기독교 교파는 혁명 정부하에서 번창했다. 1927년이 되면 복음주의 개신교 운동은 10만 명에서 100만 명으로 규모가 커졌다. 트로츠키는 러시아 내전 당시 종교적 평화주의자들이 군복무 대신 의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 Crouch 2006.
  87. Northrop 2004, p80.
  88. Crouch 2006.
  89. Northrop 2004, p81. 그러나 모두가 이런 접근법을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고 이는 볼셰비키 내 쟁투로 이어졌다고 크라우치는 지적한다 — Crouch 2006.
  90. 당시 우즈베키스탄은 신생 공화국으로,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민족 의식이 고양 됐다. 우즈베키스탄 민족주의의 성장과 신생 공화국에 대한 볼셰비키의 접근법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자세한 토론이 궁금하다면 Crouch 2006을 보라. 파란지와, 그와 함께 입는 차츠본의 상징성에 대해서는 Northrop 2004을 참고하라.
  91. 이 정보는 Omerika 2014에서 가져왔다.
  92.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이와 아주 다르게 접근했다. 볼셰비키는 혁명적 사법 체계와 샤리아를 따르는 사법 체계가 공존하도록 허용했으나, 샤리아 법원이 내릴 수 있는 처벌의 종류에 제한을 뒀다 — Crouch 2006.
  93. Simic 2018, p164. 교육은 육아와 수공예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심지어 이 교육에서조차 장벽이 있었는데, 서로 다른 공동체들이 각기 사용하는 언어로 교육 자료를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94. Simic 2018, p150.
  95. 매매혼 때 신랑 가족이 내는 ‘신부 값’은 일종의 지참금으로, 신부가 신부 측 가족을 떠나면서 생기는 노동력 공백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농민 사회의 경제적 기본 단위라는 여성의 구실을 밝히 보여 주는 것이다.
  96. Simic 2018, pp156-157.
  97. Simic 2018, pp171-173에서 인용.
  98. 불가리아 내 무슬림의 역사는 지면이 허락하는 선에서 서술한 것보다 훨씬 복잡하다. 더 긴 설명을 원한다면 Neuburger, 2004를 참고하시오.
  99. “포막”이라는 표현은 널리 쓰이지만 맥락에 따라 인종차별적 함의가 있기도 하다. 그래서 나는 이 글에서 따옴표를 사용했다.
  100. Gluckstein 1952, p213.
  101. Gluckstein 1952, p212.
  102. 터키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대부분은 대개 14~15세기 오스만 제국의 불가리아 지배 시절 정착한 터키계 사람들의 후손이다.
  103. Neuburger 2004, p12.
  104. 1970년대에 불가리아과학아카데미 산하 특별위원회가 터키계 무슬림들을 동화시키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순수 불가리아 농민 전통을 골라내는 임무를 수행했다 — Neuburger 2004, pp73-74를 보라.
  105. Neuburger 2004, p186.
  106. 불가리아 정부는 1941년부터 히틀러를 지지했으나, 1944년 소련 군대가 도착한 후 입장을 바꿨다 — Kamusella 2019를 보라.
  107. Kamusella 2019. 공산 국가 불가리아는 터키를 제외하면 터키어 문학과 출판물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이 됐다. 1959~1972년에 터키어로 된 책 약 120종과, 그만큼 많은 종류의 교재가 출판됐다.
  108. Neuburger 2004, p67.
  109. 릴리아나 브리스비에 따르면, 불가리아 정부는 마오쩌둥의 대약진 운동이 자신들도 겪던 투자 자금 부족 문제를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 Brisby 1960, p81.
  110. Neuburger 2004, pp68-70.
  111. Kamusella 2019.
  112. 격자형 창문도 “후진적인” 오스만 제국의 과거를 떠오르게 한다는 이유로 금지됐다. 1960년대에는 농촌 주택에 테이블·의자·침대가 도입됐다 — Neuburger 2004, p132.
  113. Neuburger 2004, pp74-75.
  114. Neuburger 2004, p77.
  115. Neuburger 2004, pp77-78.
  116. Neuburger 2004, p82. 1989년 터키계 사람들 35만 명이 국경을 건너 터키로 갔다. 많은 불가리아 지식인들이 “부활” 과정의 폐지를 요구했고, 오늘날 불가리아 의회는 이 사건을 인종 청소 사례로 인정하고 있다.
  117. 1950년에 불가리아인민여성연맹은 조국전선 전국위원회 산하 여성·소수민족 담당 부서로 대체됐다 — Nazarska 2009.
  118. Nazarska, 2009.
  119. Muratova 2013, p132.
  120. Muratova 2013, pp135-137. 젊은 무슬림 여성들이 자격증을 많이 따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간호사 양성을 위한 특별 수업을 개설하는 등 인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121. Muratova, 2013, p144.
  122. Luxemburg, Rosa 1989, chapter 8.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