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트로츠키의 연속혁명론과 오늘날 제3세계 *

MARX21

  1. Löwy 1981. 이 글에서 인용된 부분은 모두 이 책에서 가져 온 것이다.
  2. Trotsky 1969, p. 146.
  3. Novack 1972, 4장과 Knei-Paz, 1978, pp. 62–107에 이 개념에 대한 토론들이 있다.
  4. Trotsky, 1970, p. 19.
  5. Trotsky, 1967, i, p. 23.
  6. 위의 책., i, pp.22-3.
  7. 러시아 혁명의 성격을 둘러싸고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벌인 논쟁에 대한 가장 좋은 논고는 Geras, 1976 2장이다.
  8. Trotsky, 1976, p. 129.
  9. Trotsky, 1976에 실린 Letter to Alsky (29 March 1927), To the Politburo of the AUCP (B) Central Committee (31 March 1927), On the Slogan of Soviets in China (16 April 1927)을 보라.
  10. Trotsky, 1969, p. 279.
  11. Stalin, 1974와 Krasso, 1967을 보라.
  12. Trotsky, 1970, pp. 20–21.
  13. 이런 류의 분석들을 잘 반박한 것으로는 예컨대, Binns and Hallas, 1976을 보라.
  14. Trotsky, 1973, p. 237.
  15. Trotsky, 1976에 실린 Peasant War in China and the Proletariat (22 September 1932)를 보라.
  16. Skocpol, 1979를 보라.
  17. Callinicos, 1979를 보라. 앙리 베베르도 비슷한 실수를 저지른다. Weber, 1981, pp. 58–9 n 13을 보라.
  18. Rousset, 1975을 보라.
  19. Trotsky, 1976, p. 349.
  20. 콜린 스파크스의 정식이다.
  21. Knei-Paz, 1978, p. 210, 5장. 정당과 관련해, 매우 그릇되게도 1917년 이전 시기에 집중하고(49쪽을 할애) 1917년 이후 트로츠키의 아주 중요한 정당 관련 논의를 사실상 무시한다(8쪽 할애).
  22. Trotsky, 1969, p. 276.
  23. Mandel, 1977, 2장.
  24. Harris, 1978/9와 Harman, 1982를 보라.
  25. Löwy, 1970, pp. 24ff.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