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과 21세기의 제국주의 *

MARX21

  • 출처: Adrian Budd 2021, China and imperialism in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Socialism 170(posted on 15th April).

  1. 이주 규모는 결코 정확하게 파악된 적이 없지만, 2019년에 중국 농민공 수가 3억 명이었다는 수치가 흔히 언급된다. 그중 1억 2000만 명은 단거리(“향내”) 이주자로 많은 수가 농촌 고용과 도시 고용 모두에 걸쳐 있다. 이들을 제외한 1억 8000만 ~ 2억 명의 농민공은 주요 산업 중심지에 있다. 중국의 농민공과 그들을 포함한 노동계급 일반에 대해서는 Pai, 2013, Goodman, 2014, China Labour Bulletin, 2020를 참고하라.
  2. World Bank, 2021. 수치의 정확성보다는 2001년 미국 경제와 중국 경제의 커다란 격차에 더 주목하라.
  3. Segal, 1999.
  4. Wong, 2011
  5. 유럽연합도 중국에 대한 입장이 더 강경해졌다. 유럽연합의 2019년 전략 전망 문서는 중국과 협력할 분야들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중국을 “경제적 경쟁자”와 “체계적 경쟁자”로 규정했다. 그럼에도 유럽연합에 기반을 둔 기업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유럽 강대국들은 자동으로 미국의 입장을 따라가지는 않는다. European Commission, 2019, p1를 보라.
  6. www.youtube.com/watch?v=viO4Nz7DyHI&feature=youtu.be&ab_channel=JoeBiden
  7. Callinicos, 2009, p74.
  8. Cliff, 1988. Harris, 1978는 이러한 국가자본주의론의 관점에서 마오쩌둥하의 중국을 탁월하게 분석한다.
  9. Goodman, 2014, pp79, 88.
  10. Ho, 2013, p813.
  11. Harman, 1991.
  12. Taylor, 2017, p182.
  13. Hart-Landsberg, 2010, p27.
  14. 중국 지배계급 내의 긴장에 관해서는 See Katz, 2015를 보라. 미국 기업 엘리트들 중 중국에 가장 많이 투자한 일부가 트럼프에 적대적인 것도 이와 비슷한 긴장이 있기 때문이다.
  15. Callinicos, 2009, pp41-52; Lenin, 1969; Bukharin, 1987.
  16. Woodward, 2017; Ledwith, 2020. 레드위스는 우드워드가 홍콩과 신장의 무슬림 다수 지역에서 일어난 “정당한 투쟁들”을 많은 경우 “CIA가 후원하는 전복 시도의 양상”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고도 비판한다.
  17. Gowan, 1999, pviii.
  18. Sotelo Valencia, 2017, 5 장에서 재인용.
  19. 다른 마르크스주의적 제국주의론들은 중요한 물음을 제기한다. 그러나 오늘날 미국의 초강대국 제국주의와 다국적 기업들의 활동을 설명하는 이론들은 1910년대에 카를 카우츠키가 제시한 초제국주의와 비슷하게 협력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경쟁을 과소평가한다. 이에 대한 비판은 Budd, 2013, 6장을 보시오. 개발도상국·빈국 노동력에 대한 초착취 개념에 기초한 다른 견해는 Smith, 2016에서 볼 수 있다.
  20. Harris, 1978, p215.
  21. Sanger, 2001에서 재인용
  22. Fewsmith, 2001, p574.
  23. Davis and Wei, 2020.
  24. https://wits.worldbank.org/CountryProfile/en/Country/CHN/Year/LTST/TradeFlow/Export/Partner/all
  25. Chun, 2013, p58.
  26. Chung, 2009.
  27. 아세안은 원래 냉전 시기에 반공 연합으로 결성됐지만, 지금은 중국 경제의 강력한 자장 안에 있다.
  28. Hoge, 2004.
  29. Kaplan, 2005.
  30. Subramanian, 2011, p68.
  31. Dyer, 2010.
  32. 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ex-pacfleet.htm를 보시오.
  33. BBC News China, 2012.
  34. Ye Zicheng, 2011, p72.
  35. Blackwill and Tellis, 2015; Shoup, 2015, p12.
  36. Blackwill and Tellis, 2015, p4.
  37. Blackwill and Tellis, 2015, p12.
  38. White House, 2017, p3.
  39. White House, 2017, p2.
  40. Hung, 2016, pp89, 152-3.
  41. Taylor, 2017, p186.
  42. Fernández Jilberto and Hogenboom, 2010.
  43. Dantas and Jabbour, 2016, pp319-320. Jabbour, 2020도 보라.
  44. Sotelo Valencia, 2017, p149.
  45. Fernández Jilberto and Hogenboom, 2010, p9. 세계적 맥락에서 채굴 산업과 그 산업이 지역의 환경과 토착 원주민에 미치는 피해에 관해서는 마틴 업처치의 Upchurch, 2020을 보라. 업처치는 채굴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현지 자본들이 기꺼이 제국주의의 협력자가 될 때가 많다고 지적한다.
  46. Sotelo Valencia, 2017, p146. 인용문 끝에서 소텔로 발렌시아는 Petras, 2014, p306를 인용한다. 소텔라 발렌시아는 브라질에서 미국 자본과 유럽, 특히 프랑스 자본이 벌이는 경쟁을 언급한다.
  47. 또 다른 요인은 유럽연합의 “아프리카 국가 경제 파트너십 협정”이다. 이 협정은 서방 내에서도 제국주의 간 경쟁이 벌어진다는 것을 잘 보여 준다.
  48.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2018, p38.
  49.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2020, p28.
  50.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2020, p8.
  51.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2020, p28.
  52. Liang, 2007, p133. Hung, 2016, pp106-114도 참고하라.
  53. Bond, 2015, p18.
  54. Amisi and others, 2015, p108.
  55.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20a.
  56.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20b.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무기 수출에 관해서는 Hendrix, 2020를 보라.
  57. Heydarian, 2015를 보라.
  58. WTO가 워싱턴 컨센서스하에서 대부분의 무역 규제를 없앴다는 흔한 오해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 세계에 300개의 역내 무역 협정이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국가-자본 복합체들이 역내 가치 사슬과 국제 가치 사슬에 편입되는 조건을 합의한다. See World Trade Organisation, 2021.
  59. Bulard, 2021, p7.
  60. Hillman, 2020에 따르면 이 1조 달러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해서 보면 제2차세계대전 이후 마셜 계획에 쓰인 비용의 일곱 배에 달하는 액수다.
  61. Kynge and Wheatley, 2020.
  62. Varano, 2020. Kavalski, 2020도 참고하라.
  63. Zheng, 2020. Karásková and others, 2020는 “17 + 1” 협력체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그럼에도 중국이 중·동부 유럽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고 본다.
  64. Davis and Wei, 2020를 보라.
  65. 1980년대에는 일본과 오늘날의 유럽연합이 비슷한 비난을 받았다. 동시에 미국은 전략방위구상(“스타워즈 계획”) 계약을 통해, 특히 IT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산업 정책을 폈다. 자본과 국가의 상호의존은 국가자본주의만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66. Levy, 2018.
  67. Financial Times, 2019.
  68. 미국의 압력에 대한 유럽연합의 저항은 유럽연합이 첨단 기술 부문에서 취약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전자 상거래나 소셜 미디어처럼 성장하는 부문은 대체로 미국이나 중국에 기반을 둔 거대 기술 기업이 지배하고 있고, 유럽연합은 이들과의 경쟁에 특별히 취약한 처지에 있다. 유럽연합이 일반데이터보호규정을 제정하고 법적으로 페이스북 등에 제동을 걸려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69. Huang and Smith, 2020.
  70. Hardy, 2013, p119.
  71. Bulard, 2021, p7.
  72. Hille, 2020. Carouso and Tucker, 2020도 참고하라.
  73. Obe, 2021.
  74. Stokes, 2005, p230.
  75. 중국, 러시아, 중앙아시아 국가들, 인도, 파키스탄이 참여하는 상하이협력기구는 상호 안보 협정이 아니라, 이슬람 급진주의에 대항하고 소련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공통의 이해관계가 있는 느슨한 국가 연합이다. 안보 면에서 중국은 상대적으로 고립돼 있다. 한편 인도는 새로이 부상하는 “4개국 안보 회담”(이른바 “쿼드”)에 미국·호주·일본과 함께 참여하고 있다.
  76. 중국은 미국이 달러의 준비통화 지위로 누리는 이점을 자기도 누리기 위해 국제 무역에서, 그리고 준비통화로서 위안화를 이용하는 것을 장려해 왔다. 아시아 무역에서 위안화 사용은 2010년 이래 세 배로 늘어 오늘날 3분의 1을 차지한다. 반면 달러 사용은 같은 기간 동안 22퍼센트에서 10퍼센트 안팎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세계 수준에서 보면, 위안화를 사용하는 무역은 2퍼센트에 불과한 반면, 40퍼센트의 무역은 달러로, 35퍼센트의 무역은 유로화로 이뤄진다.
  77. Biden, 2020, pp70-71.
  78. Layne, 2020, p47.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