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남아공의 마르크스주의와 혁명 *


MARX21

  • 출처: Alex Callinicos, ‘Marxism and the revolution in South Africa, International Socialism, 31 (Spring 1986).

  1.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는 남아공 인구를 4개의 인종 집단으로 구분한다 ― 백인 450만 명(15퍼센트), 컬러드Coloured 277만 명(9퍼센트), 인도인 87만 명(3퍼센트), 아프리카인African 2270만 명(73퍼센트). 아프리카인은 다시 부족에 따라 10개의 홈랜드Homeland/반투스탄에 속한다고 세부 분류된다. 대부분의 남아공 좌파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이런 분류 방식이 근거가 없고, 인종차별적이고, 분열을 조장하기 위한 것이라며 인정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남아공 좌파들은 (근본적 계급 대립 외에는) 백인과 흑인의 대립이 있을 뿐이라고 보고, 여기서 ‘흑인’은 백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모든 사람을 포괄한다고 본다. 이 글에서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아프리카인, “컬러드”, “인도인”라는 단어를 쓰고 있지만, 각각의 집단이 유전적 또는 민족적으로 별개라는 주장을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 인용부호를 생략하고 쓴 것이라고 읽어 주길 바란다.
  2. Business Day, 10 January 1986.
  3. 이에 대한 더 상세한 분석은 다음을 보라: A Callinicos, ‘South Africa: Between Reform and Revolution?’, Socialist Worker Review, September 1985; N Lambert, Socialist Worker, and C Green, ‘South Africa: The Struggle Today’, ibid, 25 January 1986.
  4. 특히 다음을 보라: A Callinicos and J Rogers, Southern Afnca after Soweto (London 1977), and A Callinicos, South Africa: the Road to Revolution (London 1985).
  5. 남아공 투쟁을 다룬 역사서 중 돋보이는 것이 2개 있는데 다음과 같다: J J and R E Simons, Class and Colour in South Africa 1850-1950 (Harmondsworth 1969) and E Roux, Time Longer than Rope (Madison 1972). 이 중 전자가 더 풍부하고 노동계급 정치에 더 집중하고 있지만, 전반적 관점은 저자 2명이 전직 공산당 지도자였다는 점을 반영한다. M Benson, The Struggle for a Birthright (Harmondswort 1966)는 ANC를 찬양하는 관점에서 쓰인 역사서이다. T Lodge, Black Politics in South Africa since 1945 (Johannesburg 1983)은 더 나중 시기를 좀더 균형 있게 다룬다.
  6. 이 과정에 대한 개괄로는 다음을 보라: J Grest and H Hughes, ‘State Strategy and Popular Response at the Local Level’, South African Review II (이하 SAR II) (Johannesburg 1984).
  7. South African Review I (이하 SAR I) (Johannesburg 1983).
  8. 이런 변화를 잘 요약한 것으로는 다음을 보라: International Defence and Aid Fund, ‘Reshaping the Constitution of Apartheid’, Briefing Paper 16, May 1985.
  9. ‘Cape Action League: Challenging the Cliches’ (A Abrahams와의 인터뷰), Work in Progress (이하 WiP) 35, February 1985, p 19.
  10. 다음에서 재인용: H Barrell, ‘The United Democratic Front and National Forum’, SAR II, p 13.
  11. Loc. cit.
  12. I Silver and A Sfarnas, ‘The UDF: a “Workerist” Reponse’, South African Labour Bulletin (이하 SALB) 8: 8/9, September/October 1983, pp 100-01, 103.
  13. 다음을 보라: ‘Building People’s Power’, Supplement to State of the Nation, October/November 1985.
  14. 다음의 인터뷰: SALB 9:2, November 1983, p 80.
  15. D Innes, ‘The Freedom Charter and Workers’ Control’, SALB 11:2, October/December 1985, p 37.
  16. N Mandela, ‘In Our Lifetime’, Liberator, June 1956, 다음에서 재인용함. South Africa’s Impending Socialist Revolution (London 1982) p 157.
  17. ‘Strategy and Tactics of the South African Revolution’, in A La Guma, ed., Apartheid (London 1972) p 179.
  18. 경험 많은 공산당 지도자가 쓴 다음 저작은 그 당의 공식 역사서라고 할 수 있다. Michael Harmel, ‘A Lerumo’, Fifty Fighting Years (London 1971) 다음에서 더 유용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Simons and Simons와 South African Communists Speak (이하 SACS) (London 1981). 남아공공산당의 역사를 학술적이고 비판적으로 다룬 연구에 대한 갈증은 Tom Lodge의 연구가 출판되면 대부분 해소될 것이다.
  19. 다음을 보라: Simons and Simons, ch 13 and 14.
  20. SACS, pp 93-4. 당시 “원주민”은 오늘날 “아프리카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공식 용어였다.
  21. 다음을 보라: H lsaacs, The Tragedy of the Chinese Revolution (Stanford 1974)[국역: 《중국 혁명의 비극》, 숨쉬는책공장, 2016], and L Trotsky, On China (New York 1976), The Third International after Lenin (New York 1970) and Permanent Revolution and Results and Prospects (New York 1970)[국역: 《연속혁명, 평가와 전망》, 책갈피, 2003].
  22. 번팅이 트로츠키와 좌익반대파와의 교류 없이 독자적으로 단계혁명론에 대한 비판을 발전시켰다고 주장하는 연구로는 다음을 보라: Tony Southall, ‘Marxist Theory in South Africa until 1940’ (MA thesis, University of York, 1978) pp 26--33.
  23. 《아프리카 공산주의》(이하 AC) 78호(1978년 1/4분기)에 실린, 공산당의 지도적 이론가 “투상”이 《소웨토 항쟁 이후의 남아공》을 서평한 논문 ‘남아공 혁명에서의 계급과 민족’은 그런 태도의 본보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 논문에는 다른 비방도 많지만 [그 책을 쓴] 나와 존 로저스가 미국 제국주의의 첩자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답변할 기회를 달라고 편집부에 요청했지만 거부됐다.
  24. ‘Toussaint’, ‘A Mirror of Our Times’, AC 100, First Quarter 1985, p 23.
  25. SACS, pp 313, 314, 307-8.
  26. Ibid, p 300.
  27. ‘Strategy and Tactics’, p 195.
  28. J Slovo, ‘ “Reforms” and Revolution in South Africa’, Sechaba, February 1985, p 8.
  29. Ibid, p 6.
  30. 남아공 자본주의 고유의 특징과 구조적 모순을 요약한 것으로는 다음을 보라: A Callinicos, Southern Africa after Zimbabwe (이하 SAAZ) (London1981) ch 4.
  31. SACS, pp 304-5.
  32. SACP Central Committee, ‘A United People will Defeat the Enemy’, AC, p 96, First Quarter 1984, pp 48-9. See also ‘Makelekelathini’, ‘We Must Win Over the African Middle Class’, ibid 100, First Quarter 1985.
  33. SACS, p 311. 노동계급의 “특별한 구실”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Strategy and Tactics’, pp 202-3.
  34. R Suttner, ‘The Freedom Charter- the People’s Charter in the 1980s’, Free Azania 2:1, August 1985, p 41.
  35. J Slovo, ‘South Africa — No Middle Road’, in B Davidson et al, Southern Africa: the New Politics of Revolution (Harmondsworth 1976).
  36. 다음을 보라: J V Stalin, On the Opposition (Peking 1974).
  37. SACS, p 311.
  38. ‘Toussaint’, ‘A Trade Union is not a Political Party’, AC, Second Quarter 1983.
  39. Africa Confidential, 3 July 1985.
  40. T Lodge, ‘The African National Congress, 1983’, SAR II, p 25.
  41. 예컨대 다음을 보라: C Bundy, The Rise and Fall of a South African Peasantry (London 1979).
  42. M Lipton, Capitalism and Apartheid (Aldershot 1985) p 379.
  43. R Bolus and N Muller, ‘The Drought and Underdevelopment in the Transkei’, SAR II, p 291.
  44. Lipton, loc. cit.
  45. O R Tambo, ‘Render South Africa Ungovernable’, Sechaba, March 1985, p 12.
  46. 다음에서 재인용. P Storey, ‘South African Perspectives: Workers’ Revolution or Racial Civil War’, Supplement to lnqaba ya Basebenzi 16/17, May 1985, pp 44-5.
  47. ‘Take the Struggle into the White Areas!’, Sechaba, December 1985, p 2.
  48. 다음을 보라: B Hirson, Year of Fire, Year of Ash (London 1979) chs 11 and 12.
  49. SOYA Bulletin No 3.
  50. 다음을 보라: D Innes, ‘Monopoly Capitalism in South Africa’, SAR I.
  51. 이 전통에 대한 연구로는 다음을 보라: G M Gerhart, Black Power in South Africa (Berkeley and Los Angeles 1978).
  52. 재인용, ibid, p 60.
  53. S Biko, I Write What I Like (London 1978) p 89.
  54. Ibid, p 97.
  55. 흑인 의식 운동에 대한 비판적 평가로는 다음을 보라: Hirson, chs 15 and 16, and SAAZ, pp 146-50.
  56.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8 (Johannesburg 1979) pp 32-3.
  57. 다음을 보라: Barren, pp 11-12.
  58. “아자니아”는 PAC, 흑인 의식 운동, CAL이 남아프리카를 지칭하는 단어다. ANC와 그 동맹들은 그 표현을 쓰지 않는다.
  59. Barren, p 12.
  60. 다음을 보라: Simons and Simons, chs 4 and 5.
  61. 다음을 보라: South all, passim.
  62. 남아프리카 트로츠키주의의 초기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Southall, pp 20 and 34-7, and Roux, pp 311-13.
  63. Southall, p 74.
  64. Ibid, pp 72-3.
  65. L Trotsky, Writings (1934-35) (New York 1974) pp 250, 254.
  66. Ibid, pp 249-50. 그러나 트로츠키는 흑인들의 자결권을 “남아프리카에 별도의 흑인 국가 수립”(ibid, p 251), 즉 국가를 인종 별로 분할하는 것과 헷갈리는 실수를 했다. 남아프리카공산당CPSA도 “원주민 공화국”이라는 요구를 그와 비슷하게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추정컨대 트로츠키는 (그들과 마찬가지로) 코민테른이 미국 남부에서 흑인들이 고유한 국가를 가질 권리를 정책적으로 옹호했던 것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다음을 보라: No Sizwe, One Azania, One Nation (London 1979) pp 49-53.
  67. H Wolpe, ‘Capitalism and Cheap Labour Power in South Africa’, Economy and Society 1:4 (1972) and Legassick, ‘South Africa: Capital Accumulation and Violence’, ibid, 3:3 (1974). 레가시크는 이에 앞서 돌파구를 연 소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The Frontier Tradition in South African Historiography’, published in S Marks and A Atmore, eds, Economy and Society in Pre-Industrial South Africa (London 1980).
  68. N Alexander, Sow the Wind (Johannesburg 1985) p 130.
  69. Legassick, ‘South Africa’, p 269.
  70. 다음을 보라: J 8 Peires, editor’s Introduction to Before and After Shaka (Grahamstown 1981) p 17.
  71. Wolpe, ‘Capitalism and Cheap Labour-Power’, p 439.
  72. Ibid, p 450.
  73. Wolpe, ‘The Theory of Internal Colonialism: the South African Case’, in I Oxaal et al, eds, Beyond the Sociology of Development (London 1975) p 249.
  74. Ibid, p250.
  75. Ibid, p 241. 여기서 울프는 찰스 베텔헴Charles Bettelheim을 인용한다.
  76. Ibid, p 248.
  77. M Williams, ‘An Analysis of south African Capitalism’, Bulletin of the Conference of Socialist Economists vi:1 (1975) p 31. 제프 가이는 전자본주의 사회가 붕괴한 시기를 이보다 더 일찍 잡는다: “내가 생각하기에 1890년대 줄루 사회구성체를 가리켜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절합하게 된 전자본주의 생산양식이라고 개념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렇게 개념화하는 것은 형식과 내용을 혼동하는 것이다. … 자본주의가 줄루 사회를 지배하기 시작한 시점은 1889년 처음으로 오두막세를 성공적으로 징수했을 때로 봐야 한다. 바로 이때부터 줄루 사회는 자본 축적에 복무하게 됐다.” ‘The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Zulu Society’, in S Marks and R Rathbone, eds,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Change in South Africa (London 1982) pp 189-90.
  78. Ibid, p3.
  79. R Davies et al, ‘Class Struggle and the Periodization of the State in South Africa’, Review of African Political Economy (이하 ROAPE) 7 (1976) p 5.
  80. 다음을 보라: S Clarke, ‘Capital, Fractions of Capital and the State’, Capital and Class 5 (1978), D Innes and M Plaut, ‘Class Struggle and the State’, ROAPE 11, D Kaplan, ‘Relations of Production, Class Struggle and the State in South Africa in the Inter-War Period’, ibid, 15/16, and the editors’ introduction to Rathbone and Marks, ed.
  81. 다음을 보라: A Callinicos, Is There a Future for Marxism? (London 1982), chs 5 and 6.
  82. D O’Meara, ‘The 1946 Mineworkers’ Strike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South Africa’; Journal of Comparative and Commonwealth Studies, xii (1975), and id, Volkskapitalisme (Johannesburg 1983).
  83. Merle Lipton, Capitalism and Apartheid는 그런 도전에 속하는 것인데 이 역시 아주 초라하다.
  84. 특히 다음의 결론을 보라: N Poulantzas, Classes in Contemporary Capitalism (London 1975).
  85. Legassick, ‘South Africa’, p 286.
  86. 다음을 보라: E Webster, ed, Essays in South African Labour History (Johannesburg 1978), Section Three.
  87. 다음을 보라: H Wolpe, ‘The White Working Class in South Africa’, Economy and Society 5:6 (1976), and A Callinicos, ‘The “New Middle Class” and Socialist Politics’, International Socialism 2:20 (1983).
  88. 이 과정에 대한 최상의 분석은 다음을 보라: E Webster, Cast in a Racial Mould (Johannesburg 1985).
  89. Lipton, pp 381, 382.
  90. 다음을 보라: Webster, ch 6.
  91. Ibid, p279.
  92. 비한-리케르트 전략에 대한 분석으로는 다음을 보라: SAAZ, ch 5.
  93. SALB, August-September 1984.
  94. J Lewis and E Randall, ‘The State of the Unions’, ibid, 11, October 1985, pp 74-6.
  95. 다음을 보라: Webster, pp 202-12, and p 213 n 28.
  96. 다음을 보라: Rand L Lambert, ‘State Reform and Working-Class Resistnce, 1982’, SAR I.
  97. 다음을 보라: Labour Monitoring Group (이하 LMG), ‘The November Stay-away’ SALB 10:6, May 1985.
  98. 독립노조에 대해 더 유용한 설명으로는 다음을 보라: D MacShane et al., ‘Trade Unions and the State in South Africa’, Capital and Class 15 (1981)
  99. D Hindson, ‘Union Unity’, SAR II, p 93.
  100. 다음을 보라: SAAZ, pp 124-6. 그리고 포사투 전술을 옹호하는 주장으로는 B Fine et al, ‘Trade Unions and the State in South Africa’, Capital and Class 15 (1981).
  101. A Erwin, ‘The Question of Unity in the Struggle’, SALB 11:1, September 1985, pp 54, 60, 61.
  102. Ibid, pp 68, 67.
  103. MacShane et al, p 125.
  104. R Lambert, ‘Political Unionism in South Africa’, SALB 6:2 and 3, September 1980, p 104.
  105. Loc. cit.
  106. J Foster, ‘The Workers’ Struggle- Where Does FOSA TU Stand?’, Appendix 1 to MacShane et al, pp 149, 150.
  107. 나이절 람베르트와의 인터뷰, Socialist Worker 14 September 1985.
  108. Webster, p 193.
  109. LMG, Ioc. cit.
  110. 다음을 보라: M Swilling, ‘Workers Divided’, SALB, August-September 1984.
  111. Ibid, pp 115, 119-20.
  112. LMG, loc. cit.
  113. 다음을 보라: ibid, passim, and Socialist League of Africa, ‘South Africa: Ten Years of the Stay-at-Home’, International Socialism 5 (1961).
  114. 이하의 내용은 주되게 다음에 기초한 것이다. D Pillay, ‘Community Organizations and Unions in Conflict’, WiP 37, June 1985, and LMG, ‘The March Staty-aways in Port Elizabeth and Uitenhage’, SALB 11:1, September 1985.
  115. 다음을 보라: SALB 62 and 3, special issue on ‘Working for Ford’, and SAAZ, pp 126-9.
  116. LMG, ‘The March Stay-away’, p 101.
  117. Pillay, p 12.
  118. SACTU 관계자와의 인터뷰, SALB 11:2, October/December 1985.
  119. Lewis and Randall, p 84.
  120. NUM, November 1985.
  121. 다음을 보라: P van Niekerk, ‘NUM’s First Legal Mine Strike’, SALB October/November 1984, and ‘Briefings’, ibid, 11:1, September 1985.
  122. ‘Mass Dismissals in the Mines’, ibid, 10:7, June 1985.
  123. Webster, pp 60-1.
  124. 다음을 보라: The Workers’ Movement, SACTU and the ANC (London 1979).
  125. Inqaba ya Basebenzi 1, January 1981.
  126. MWT 입장에서의 서술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ibid, 16, May 1985.
  127. Storey, p 25.
  128. South Africa’s Impending Socialist Revolution, pp 152-3.
  129. Webster, pp 226, 230, n 51.
  130. Storey, p 43
  131. Ibid, p 30.
  132. 부르주아 해결책의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 논의로는 다음을 보라: Callinicos, ‘South Africa’.
  133. Storey, p 38.
  134. South Africa’s Impending Socialist Revolution, p 147.
  135. Ibid, p 139.
  136. Storey, p 38.
  137. 예컨대 다음을 보라: ‘Claris’, ‘Conference Expels “Left-Wing” Deviationists’, Sechaba, August 1985.
  138. 다음을 보라: D Lewis, ‘Registered Trade Unions and Western Cape Workers’, in Webster, ed, Hirson, ch 12 and SAAZ, pp 130-35.
  139. 다음을 보라: I B Tabata, The Awakening of a People (Nottingham 1974) and Roux, pp 354-9.
  140. 다음을 보라: I B Tabata, Imperialist Conspiracy in Africa (Lusaka 1974) eh 3.
  141. Ibid, p 34.
  142. O’Meara, ‘The 1946 Mineworkers’ Strike’, p 153.
  143. 다음을 보라: Webster, pp 202-12.
  144. Free Azania 2:1, August 1985, p 31에 실린 R O Dudley와의 인터뷰.
  145. Cape Herald, 11 May 1985.
  146. Loc. cit.
  147. Dudley, Free Azania, p 31.
  148. New Unity Movement, A Declaration to the People of South Africa (Cape Town 1985) p 7
  149. Ibid, p 13.
  150. Cape Herald, 11 May 1985.
  151. A Abrahams, WiP, pp 35, 20. CAL에 관한 내용은 주되게 저 인터뷰와 다음 2개의 문서집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CAL Documents and Cape Action League — A Product of Mass Struggle.
  152. S Gastrow, Who’s Who in South African Politics (Johannesburg 1985) pp 27-9.
  153. No Sizwe, passim.
  154. N Alexander, ‘An Approach to the National Question in South Africa’ Azania Worker 2:2, December 1985, p 5.
  155. Id, Sow the Wind, p 49.
  156. Id, ‘An Approach’, p 12.
  157. Ibid, 13. 또한 다음을 보라: Sow the Wind, pp 139-50.
  158. No Sizwe, p 125.
  159. Abrahams, p 21.
  160. Socialist Organiser, 19 September 1985.
  161. Alexander, Sow the Wind, pp 13-16.
  162. Ibid, p 15.
  163. 다음을 보라: ‘Points on the Role of Liberals’, CAL Documents.
  164. 다음을 보라: Socialist League of Africa, ‘Ten Years of the Stay-at-Home’.
  165. ‘Breaking the Chains’, Workers’ Liberty September 1985, p 4.
  166. T Cliff and D Gluckstein, Marxism and Trade Union Struggle (London 1986) ch 1[국역: 《마르크스주의와 노동조합 투쟁》, 책갈피, 2014].
  167. 다음을 보라: T Cliff, ‘The Economic Roots of Reformism’ [국역: ‘개혁주의의 경제적 뿌리’, 《마르크스21》 15호(2016년 여름), 책갈피, 2016], in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London 1982).
  168. Webster, p 250.
  169. N Haysom, ‘The Industrial Court’, SAR II.
  170. ‘Breaking the Chains’, p 10.
  171. M Mayekiso와의 인터뷰, ‘Towards a Workers’ Party?’, Socialist Worker Review 80, October 1985, p 19.
  172. T Rigby, ‘Why a Workers’ Party’, Socialist Organiser, 12 September 1985.
  173. ‘Breaking the Chains’, p 10.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