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오늘날 팔레스타인 여성들의 저항

제국주의, 이슬람주의, 폭력 *

MARX21

  • 출처: Katie Coles and Jane Hardy, ‘Palestinian women’s resistance today: imperialism, Islamism and violence’, International Socialism 185(Winter 2024)

  1. 원고를 여러 차례 수정하는 과정에서 유익한 조언을 주는 등 이 글을 쓰는 내내 도움을 준 앤 알렉산더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2. 대봉기(1936~1939년)부터 제1차 인티파다(1987~1993년)까지 팔레스타인 여성들의 저항에 관한 논의로는 Hardy and Coles, 2024[국역: “팔레스타인 여성의 저항: 대봉기부터 1차 인티파다까지”, 《마르크스21》 51호(2025년 봄)]를 보시오.
  3. 오슬로 협정은 1993년과 1995년에 1차와 2차에 걸쳐 맺어졌다.
  4. Johnson and Kuttab, 2001.
  5. 제1차 인티파다는 1987년에 시작돼서 1993년에 끝났다.
  6. Said, 1993; Said, 1996을 보시오.
  7. Said, 2000.
  8. 제2차 인티파다는 리쿠드당 당수 아리엘 샤론이 예루살렘의 알아크사 모스크 경내를 방문하며 도발한 것이 계기가 돼 일어나 2000년 9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벌어졌다.
  9. Hardy and Coles, 2024를 보시오.
  10. Johnson and Kuttab, 2001.
  11. 1947~1949년 사이에 실향한 팔레스타인인 100만 명 중 5분의 1 이상이 팔레스타인 영토를 완전히 떠나 주로 레바논, 요르단, 시리아로 피신했다.
  12. Abdo, 2014.
  13. Hanafi, 2012.
  14. 팔레스타인 보건부에 따르면 2000~2007년 사이에 임신한 팔레스타인 여성의 10퍼센트가 검문소에서 산통이나 출산을 겪어야 했으며 그 7년 동안 최소 35명의 영아와 5명의 여성이 사망했다. Powell, 2011과 Shaobi, 2011을 보시오.
  15. UN, 2012.
  16. Khalili, 2009, p99.
  17. Khudairy, 2021, pp34-36. 많은 아랍 문화권에서 신발을 던지는 것은 모욕적인 행위인데, 신발은 땅에 닿으므로 불결한 물건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18. Khudairy, p24.
  19. Al-Farra, 2021, p113.
  20. Abu Rahmah, 2021.
  21. 에드워드 사이드는 저서 《오리엔탈리즘》에서 서방이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해 중동 사람들을 열등하고 후진적이며 구원이 필요한 존재로 만들어내는 수법을 폭로한다. Said, 1978을 보시오.
  22. Sansoour, 2024.
  23. Kayali, 2021, p112.
  24. Mahmood, 2005
  25. Delphy, 2015.
  26. Deeb 2006; Mahmood, 2005; Hafez, 2011.
  27. Deeb, 2006.
  28. Deeb, 2006.
  29. Harman, 1994.
  30. Jad, 2018, p110.
  31. Jad, 2018, p111.
  32. 이러한 여학생위원회들은 서안지구보다 가자지구에서 더 많이 조직되고 활발하게 활동했다.
  33. Jad, 2018.
  34. Baldi, 2022.
  35. 림 리야시는 2004년 1월 14일 에레즈 검문소에서 자폭해 네 명을 죽이고 자신도 사망했다.
  36. Margolin, n.d.
  37. Abu Amer, 2021.
  38. Abu Amer, 2021.
  39. Shawa, 2010.
  40. El Khoudary, 2011.
  41. Guardian, 2021.
  42. Fanon, 1959, p35.
  43. Falecka, 2017.
  44. Naggar, 1990.
  45. Boulange, 2002.
  46. Diallo, 2024. 히잡을 착용한 프랑스 선수들은 자국에서 열린 대회임에도 출전할 수 없었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 규정에 따라 다른 국가 선수들은 히잡을 쓰고 출전할 수 있었다.
  47. Fleischmann, 2003, p133.
  48. Alayan and Shehadeh, 2021, p1057에 나오는 인터뷰 대상자.
  49. Alayan and Shahadeh, 2021.
  50. Macleod, 1991.
  51. Jad, 2018.
  52. 예컨대 www.usaid.gov/west-bank-and-gaza/news/mar-2022-palestinian-women-building-better-future을 보시오.
  53. Richter-Devrou, 2018.
  54. 이러한 프레임은 2000년에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안 1325호(여성과 평화, 안보)로 더욱 강화됐다.
  55. Cowper-Coles, 2018.
  56. Marx, 1943.
  57. Jad, 2018, p116.
  58. Marshood, 2019.
  59. Saba, 2023.
  60. Moaveni, 2024, p16.
  61. Moussa, 2022.
  62. United Nations UN Palestine Commission, 1948.
  63. Abdo, 2014.
  64. Moaveni, 2024, p18.
  65. Abdulhadi, 2019, p541.
  66. Abdulhadi, 2019, p541.
  67. Hawari, 2019.
  68. Hawari, 2019.
  69. Awadallah, 2024; Fayyad, 2024.
  70. 여러 연구에 따르면, 폭력에 노출되거나 신체적·경제적·정신적 불안정 상태에 놓이는 것과 남녀 파트너 간 폭력이 증가하는 것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Clark and others, 2010.
  71. PCBS, 2019.
  72. Šimonović, 2021.
  73. Bdier, and others, 2022; Najjar, 2020.
  74. Bdier and others, 2023.
  75. McKernan, 2024.
  76. 특히 트라마돌 같은 아편 계열 진통제의 사용이 증가했다. Progler, 2010; Massad and others, 2023.
  77. Pappe, 2023.
  78. Spivak, 1993, p93.
  79. Socialist Worker, 2010에서 재인용.
  80. Hawari, 2019.
  81. MENA Solidarity Network, 2020.
  82. Saba, 2023.
  83. Shalash, 2024.
  84. Nabulsy, 2018, p9.
  85. Gadzo and Jnena, 2018.
  86. Nabusy, 2018, p12.
  87. Alexander, 2022.
  88. Asaad, 2020, chapter 6.
  89. 더 자세한 분석으로는 Alexander, 2002를 보시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