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동전선 *


MARX21

  • 출처: Joseph Choonara, ‘The united front’, International Socialism 117(December 2007)

  1. Cliff, 1986, pp253-254.
  2. Trotsky, 1989, p132 (강조는 트로츠키의 것).
  3. Marx and Engels, 1977a.
  4. 당에 대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태도를 뛰어나게 개괄한 것으로는 Molyneux, 1978를 보라.
  5. Marx and Engels, 1977b.
  6. Trotsky, 1977, p1126.
  7. Trotsky, 1989, pp121-122(여기서 트로츠키는 자신을 3인칭으로 언급하고 있다.)
  8. Trotsky, 1975, p108에서 인용.
  9. Trotsky, 1977, p1126.
  10. Bone, 1974, p101.
  11. Trotsky, 1977, p1127. 이 인용문에 주목하게 해 준 콜린 바커에게 감사를 전한다.
  12. Trotsky, 1977, p1127.
  13. Trotsky, 1977, pp1128-1129.
  14. Trotsky, 1977, p1130.
  15. Hallas, 1985, p33.
  16. Hallas, 1985, p64.
  17. Trotsky, 1974a, p93.
  18. Trotsky, 1974a, pp93-94.
  19. Trotsky, 1974a, p94.
  20. Trotsky, 1974a, p96.
  21. Broué, 2006, p607.
  22. Broué, 2006, pp609-610.
  23. Harman, 1997, p236.
  24. Harman, 1997, p236.
  25. 전략과 전술에 대한 이러한 유연성은 토니 클리프가 쓴 《레닌: 당 건설을 향해》(1986)[국역: 《레닌 평전 1: 당 건설을 향해》, 책갈피, 2010]의 주요 주제였다. 2008년 후반에 재출판될 예정인데, 신세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읽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26. Hallas, 1985, p91.
  27. ‘독일의 10월’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Harman, 1997의 13장을 보라.
  28. Gramsci, 1990, pp367-373.
  29. Harman, 2007, pp109-110에서 인용.
  30. 소련의 타락에 대해서는 Binns, Cliff and Harman, 1987; Cliff, 1974를 보라. 코민테른의 타락에 대해서는 Hallas, 1985, chapters 5, 6 and 7을 보라.
  31. Hallas, 1985, p127에서 인용.
  32. Trotsky, 1975, pp104-105.
  33. Harman, 1989, p256에서 인용.
  34. Trotsky, 1974b, pp99-100.
  35. Trotsky, 1974c.
  36. Hallas, 1985, p146.
  37. Hallas, 1985, p147.
  38. 스페인 민중선선의 일대기는 Durgan, 2007, and Hallas, 1985, pp148-155를 보라.
  39. Hallas, 1976.
  40. 공동전선 전략을 적용한 사례로 ‘리스펙트’와 그 전에 있었던 ‘사회주의동맹Socialist Alliance’에 대해 더 알려면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117호에 실린 크리스 하먼의 글[국역: ‘영국 리스펙트의 분당 사태’, 노동자연대, 2008]과 Rees(2001, 2002)를 참고하라.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