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르크스주의와 역사

한국전쟁, 누구의 전쟁인가?

MARX21

  1. 교과서포럼, 《대안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기파랑, 2008, 137쪽.
  2. <한겨레>(2009.12.31).
  3. 필립 암스트롱 외, 《1945년 이후의 자본주의》, 두산동아, 1996, 54쪽.
  4. 아이작 도이처, 《세계 회고록 대전집7: 스탈린》, 수문서관, 1983, 447쪽.
  5. 박영기·김정한, 《한국노동운동사3 - 미군정기의 노동관계와 노동운동》, 지식마당, 2004, 259~260쪽.
  6. 김기원, 《미군정기의 경제구조 - 귀속업체의 처리와 노동자 자주관리운동을 중심으로》, 푸른산, 1990, 89쪽.
  7. Park Soon-won, Colonial Industrialization and Labor in Korea: The Onoda Cement Factory(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pp. 161-162.
  8. 森田芳夫, 《朝鮮終戰の記錄》 資料篇 第3卷, 巖南堂書店, 1983 참조.
  9. 김일성, ‘당 중앙위원회 사업 결산 보고’, 《북한 ‘조선로동당’대회 주요 문헌집》, 돌베개, 1988, 55쪽.
  10. 북한 국가자본주의의 형성 과정을 자세히 알고 싶으면 김하영, 《국제주의 시각에서 본 한반도》, 책벌레, 2002를 보시오.
  11. Ygael Gluckstein(토니 클리프), Mao’s China(George Allen & Unwin Ltd), 1953, pp. 79-91.
  12. 한림대아시아문화연구소, 《북한경제통계자료집 1946~1948》, 한림대출판부, 1994, 19쪽.
  13. 해리 S 트루만, 《트루만 회고록 下》, 지문각, 1968, 105쪽.
  14. <연합뉴스>(2007.11.20).
  15. 김남식, 《남로당 연구2》, 돌베개, 1984(한국현대사데이터베이스 http://www.kdatabase.com/SchRstBook.aspx?schKeyword=1687), 120쪽 참조.
  16. 존 R 메릴, 《침략인가 해방전쟁인가》, 과학과 사상, 1988, 294~295쪽.
  17. <조선일보>(1950.1.4).
  18. 브루스 커밍스·존 할리데이,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태암, 1989, 36쪽.
  19. 정병준, 《한국전쟁 -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개, 2006, 332쪽.
  20. 和田春樹, 《朝鮮戰爭全史》, 岩波書店, 2002, 40쪽.
  21. 와다 하루키, 《한국전쟁》, 창작과비평, 1996, 78쪽.
  22. 맥아더, 《세계 회고록 대전집1: 맥아더》, 수문서관, 1983, 392쪽.
  23. 소진철, 《한국전쟁 어떻게 일어났나》, 한국학술정보, 2008, 158~159쪽.
  24. <연합통신>(1950.2.17), 국사편찬위원회, 《자료 대한민국사》16권.
  25. 예를 들어, 이승만은 1950년 5월 30일 예정된 총선거에서 패배할까 봐 선거를 차일피일 미뤄 정치 불안을 조성한 바 있다. 그리고 살인적인 인플레 때문에 경제도 매우 불안정했다. 미국은 이런 정치적·경제적 불안 상황이 지속되면 원조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했다.
  26. 해리 S 트루만, 앞의 책, 313쪽.
  27. ‘미국 중앙정보국 정보보고서 Daily Report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자료총서》16, 3쪽.
  2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자료총서》39, 438쪽.
  29. 정병준, ‘한국전쟁 초기 국민보도연맹원 예비검속·학살 사건의 배경과 구조’, 《역사와 현실》 54호(2004년 겨울), 95쪽.
  30. Bruce Cumings, The Origin of the Korean War, volume2: The Roaring of the Cataract 1947-1950(Yuksabipyungsa), 2002, p. 672.
  31.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0, 105쪽에서 재인용.
  32. Bruce Cumings, 앞의 책, pp. 686-690 참조.
  33. 와다 하루키, 앞의 책, 96쪽.
  34. 박명림,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나남, 2002, 219쪽에서 재인용.
  35. 고준석, 《민족통일 투쟁과 조선혁명》, 도서출판 힘, 1988, 182~183쪽.
  36. 이태, 《남부군 上》, 두레, 1988, 261쪽.
  37. 조선은행조사부, 《조선경제연보》, 1948, 27~36쪽 참조.
  38. 리구훈, ‘허구와 기만으로 조작된 소위 남조선 ‘농지개혁법’의 정체’, 《인민》(1950년 6월),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40호, 569~571쪽 참조.
  39. 중앙일보사, 《민족의 증언2》, 1983, 141쪽.
  40. <당 열성자들에게 주는 주간보> 제2호(1950년 8월 13일 자호),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12, 534~536쪽.
  41. 김성칠, 《역사 앞에서: 한 사학자의 6·25일기》, 창비, 2009, 110쪽.
  42. 데이비드 핼버스탬, 《콜디스트 윈터》, 살림, 2009, 472쪽.
  43. 김기진, 《한국전쟁과 집단학살》, 푸른역사, 2006, 123쪽.
  44. 같은 책, 65쪽.
  45. 이대근, 《해방 후 1950년대의 경제》, 삼성경제연구소, 2002, 207쪽.
  46. 리영희, 《리영희 저작집6: 역정》, 한길사, 2006, 255~256쪽.
  47. 김태우, ‘한국전쟁기 미 공군의 공중폭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8, 79~80쪽 참조.
  48. 같은 글, 234~236쪽 참조.
  49. New York Times(1951.2.9), 김태우, 앞의 글에서 재인용.
  50. <인민일보>(1950.11.6),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 수집과, 《중국과 한국전쟁1》, 2002, 49~50쪽.
  51. 和田春樹, 앞의 책, 169쪽.
  52. <동아일보>(1995.6.17).
  53. 홍학지, 《중국이 본 한국전쟁》, 한국학술정보, 2008, 86쪽.
  54. 가브리엘 콜코, 《미국의 세계전략과 한국전쟁》, 청사, 1989, 124쪽.
  55. Bruce Cumings, 앞의 책, p. 358.
  56. 이종석, 《북한-중국 관계》, 중심, 2000, 116쪽.
  57. 볼셰비키텐던시, ‘6.25 잊혀진 전쟁’, http://www.bolshevik.org/hangul/INDEX.htm
  58. 태윤기, 《군인 일기》, 일월서각, 1985, 171쪽.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