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집:세계를 뒤흔드는 아랍 혁명 ― 의미와 전망

아랍 민족주의의 부상과 좌절 *

MARX21

  • 출처: Anne Alexander. ‘Suez and the high tide of Arab nationalism’, International Socialism 112(Autumn 2006).

  1. 물론 실제로 운하를 건설한 것은 드 레셉스가 아니라 강제 동원된 이집트 노동자들이었다. 많은 노동자들이 운하를 짓는 과정에서 목숨을 잃었다.
  2. 특공대가 이 암호를 놓치지 않도록 하고자 나세르는 10분 사이에 “드 레셉스”를 열네 차례 언급했다. Nasser Foundation 웹사이트 http://nasser.bibalex.org에 게재된 나세르의 1956년 7월 26일 국유화 연설 녹음을 참조하시오.
  3. 같은 출처에서 인용.
  4. FRUS (C), 1988,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between prime minister Anthony Eden and secretary of state Dulles, 10 Downing Street, London, 1 August 1956, 12.45 pm, document 42, pp 98-99. Gorst and L. Johnman, The Suez Crisis (Routledge, 1997), pp 66-67에서 재인용. 덜레스는 같은 회의에서 나세르에게 일방적으로 무력을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이든에게 경고하기도 했다.
  5. A Gorst and L Johnman, 같은 출처 p 69에서 재인용.
  6. A Nutting, No End of a Lesson: The Story of Suez (Constable, 1967), pp 34-35.
  7. 1955년 12월 시위의 여파로 요르단에서는 내각이 바그다드 협정 가입에 반기를 드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요르단은 바그다드 협정에 가입하지 못했다. M Oren, ‘A Winter of Discontent: Britain’s Crisis in Jordan, December 1955-March 1956’,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dies, vol 22, no 2 (May 1990), pp 171-184을 참조하시오.
  8. ‘수에즈 사태Suez Crisis’를 아랍권에서는 ‘이집트에 맞선 3자 도발’이라고 (더 정확하게) 부른다.
  9. 이른바 ‘검은 토요일’ 사건에 관한 생생한 기록으로는 Jean and Simmone Lacouture, Egypt in Transition (Methuen, 1958), pp 108-109을 참조하시오.
  10. Khaled Mohi El Din, Memories of a Revolution: Egypt 1952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995), p 25.
  11. 나세르와 무슬림형제단의 관계에 대해서는 R P Mitchell, The Society of the Muslim Broth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pp 105-106을 참조하시오. 나세르와 공산당의 관계에 대해서는 Mohi El Din의 상기 문헌을 참조하시오.
  12. Gamal Abd-al-Nasser, Falsafat al-thawrah (Dar al-Sha’ab, no date, 9th edition), p 22.
  13. 이 같은 패배적 그림은 자유장교단에게 권력을 계속 쥐고 있을 편리한 명분을 제공했다. 그러나 나세르가 노조·정당·학생회를 국가에 굴복시키려고 길고 치열한 싸움을 보면 벌였다는 사실을 보면 1952년 7월에도 운동이 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4. M Pripstein Posusney, Labor and the State in Egypt: Workers, Unions and Economic Restructur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p 45.
  15. 1956년 이후 수십 년 동안 이들 사이의 정확한 합의 내용은 비밀에 가려져 있었다. 당시 영국 관리들은 이스라엘과 공조했다는 사실 자체를 부인했다. 영국 외무장관 존 셀윈-로이드는 영국 하원에서 영국 정부와 이스라엘 정부 사이에 이집트 침공을 둘러싼 “사전 합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1996년에야 비로소 역사가 아비 슐라임이 이스라엘 정부가 보관하고 있던 40년 전 세브르에서 체결된 비밀 각서를 공개했다. A Shlaim, ‘The Protocol of Sèvres: Anatomy of a War Plot’, International Affairs 73, 3 (1997), pp 509-530을 참조하시오.
  16. A Shlaim, 같은 출처, p 523.
  17. K Love, Suez: the Twice-fought War (McGraw-Hill, 1969), p 493.
  18. M H Heikal, Cutting the Lion’s Tail: Suez through Egyptian Eyes (Corgi, 1988), p 197.
  19. J Waterbury, The Egypt of Nasser and Sad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3), p 312.
  20. Heikal, 같은 출처, p 194.
  21. D Hashmat, ‘Yusuf Darwish, muhami ummal’, Awraq Ishtirakiyya (July/August 2004), pp 24-25.
  22. Layla al-Shal, telephone interview, Cairo, 31 March 2006.
  23. Fatallah Mahrus, interview, Cairo, 25 March 2005.
  24. 같은 출처.
  25. A shafiq, telephone interview, Cairo/London, 31 March 2006.
  26. Fatallah Mahrus, 같은 출처.
  27. Abu-Sayf Yusuf, Wath’iq wa-mawaqif min tarikh al-yasar al-misri 1941-1957 (Sharikat al-Amal, 2000), p 357.
  28. Telegram, British Embassy, Baghdad to Foreign Office, 1725 23 Dec 1956 FO371/121647.
  29. 같은 출처.
  30. 같은 출처.
  31. 이집트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라크 운동 진영에는 공산주의자들부터 아랍 민족주의자, 자유민주주의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치 세력들이 포함돼 있었다. 주요 조직으로는 공산주의 진영의 여러 지하 조직들, 대표적으로는 이라크공산당ICP이 있었고, 그 밖에 아랍 민족주의 정당인 독립당Independence Party, 영국 노동당의 사회민주주의를 대안으로 삼은 카밀 알 차디르치의 국민민주당National Democratic Party이 있었다. 정당뿐 아니라 노조와 학생회도 운동 건설에서 중요한 구실을 했다. 다음 문헌들을 참조하시오. H Batatu, The Old Social Classes and the Revolutionary Movements of Iraq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8); K Chadirchi, Muthakirrat Kamil al-Chadirchi wa tarikh al-hizb al-watani al-dimuqrati (Cologne, 2002); M Mahdi Kubba, Mudhakirati fi samim al-ahdath 1918-1958 (Beirut, 1965).
  32. H Batatu, 같은 출처, pp 749-757. 영국 외무성 문서에는 나자프의 사태 전개에 관한 언급이 거의 없는데, 아마도 당시 나자프에는 영국 주재원이 없었기 때문인 듯하다.
  33. FO 371/121647 British Consul-General, Basra to Embassy, Baghdad, 14 December 1956.
  34. 같은 출처.
  35. J Waterbury, 같은 출처, pp 61-82, p 209를 참조하시오.
  36. S Heydemann, Authoritarianism in Syria: Institutions and Social Conflict 1946-1970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를 참조하시오.
  37. D Hasmat, 같은 출처.
  38. J Beinin and Z Lockman, Workers on the Nile: Nationalism, Communism, Islam and the Egyptian Working Class, 1882-1954 (IB Tauris, 1988), p 205.
  39. H Batatu, 같은 출처, p 897을 참조하시오.
  40. 1965년 이집트 공산주의 운동 내 대다수는 정권이 만든 정당인 아랍사회주의연합Arab Socialist Union에 흡수·통합되는 것에 합의했다. 이라크에서는 1972년 공산당이 바트당 정부에 들어갔다가 6년 뒤 사담 후세인의 광포한 탄압에 직면했다. 1972년 시리아 공산당도 민족진보전선National Progressive Front 내에서 바트당과 손을 잡았다.
  41. 트로츠키 저작 전문은 www.marxists.org/archive/trotsky/works/1931-tpv/index.htm에서 찾아볼 수 있다.
  42. T Cliff, Deflected Permanent Revolution (1963), http://www.marxists.org/archive/cliff/works/1963/xx/permrev.htm에서 재인용.
  43. 토니 클리프가 지적하듯이, 레닌은 1917년 2월 혁명 이후 자신의 견해를 수정했다. 노동계급이 혁명을 부르주아 민주주의의 한계 너머로 밀어붙이게 되는 한 가지 중요한 이유는 (1917년에 레닌이 깨달았듯이) 부르주아지가 허약하고 소심한 나라에서는 부르주아지보다 더 반동적인 세력들이 권력 장악의 기회를 노릴 것이기 때문이다. 1917년 9월 코르닐로프의 쿠데타 시도가 이 점을 보여 줬다. T Cliff, 같은 출처.
  44. 이집트 공산주의 운동의 내부 문건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우리가 이집트에서 확립하고자 하는 인민 민주주의는 모종의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아니다. 우리는 제국주의와 봉건제에 맞서 투쟁하는 모든 계급의 민주적 독재를 확립하려 한다.” 출처: Archives of the Communist Party of Great Britain, National Museum of Labour History, Manchester, CP/CENT/INT/56/03 – Note on Communist Policy for Egypt, nd.
  45. 교수형이 집행되고 며칠 뒤인 1952년 9월 10일에 민족해방민주운동 기관지인 <알 마라인>은 ‘민중과 군이 나아갈 길 ― 제국주의와 배신자들에 맞선 민족 전선’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출처: Communist Party Archives, CP/CENT/INT/56/04 – Summary of Articles from Al-Malayin, 10 September 1952). 다른 이집트 공산주의 조직들은 이런 입장을 채택하지 않았지만 공산주의 운동 내 최대 조직인 민족해방민주운동의 영향력은 운동 전체를 혼란에 빠뜨리는 데 큰 구실을 했다.
  46. Aziz al-Haj in Sawt-al-Ahrar, 23 November 1958. H Batatu, 같은 출처, p 834에서 재인용.
  47. L Trotsky, Permanent Revolution, http://www.marxists.org/archive/trotsky/works/1931-tpv/pr10.htm
  48. T Cliff, 같은 출처.
  49. 1958년 혁명에서 이라크 공산당의 역할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A Alexander, ‘Daring for Victory: Iraq in Revolution 1946-1959’, International Socialism 99 (Summer 2003)을 참조하시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