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집트 혁명에 대한 개괄 설명 *

MARX21

  1. 많은 정치적 통찰을 제공해 준 이집트 혁명적사회주의자단체 회원들, 이집트의 새로운 언론, 특히 하니 슈크랄라와 오늘날 이집트의 권위 있는 언론인 〈아흐람 온라인〉의 기자들에게 감사하다. 이 글의 초안에 논평해 준 와심 와그디, 존 로즈, 앤 알렉산더, 알렉스 캘리니코스, 조니 존스에게도 감사하다.
  2. Agha and Malley, 2012, pp71-72.
  3. Agha and Malley, 2012, p72.
  4. 이 진부한 헤드라인은 2011년 여름 《포린어페어스》에 실린 글 “아랍의 봄, 페르시아의 겨울”(Kaye and Wehrey, 2011)에서 (최소한 현재 용례로는)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 표현은 2011년 12월 〈워싱턴 포스트〉에서 “아랍의 봄-이슬람주의의 겨울”로 등장했고, 이후 특히 미국과 이스라엘 언론에 일상적으로 등장 중이다. Byman, 2011을 보시오.
  5. Mitnick, 2011을 보시오.
  6. 이스라엘의 전 국방차관 에프라임 스네가 《포린폴리시》에 쓴 글(Sneh, 2011).
  7. Le Monde, 2012.
  8. 영국 파운드화로 0.5펜스, 미국 달러화로 0.75센트 정도다. [한국 원화로는 8원 정도다.]
  9. Hussein, 2012.
  10. Hussein, 2012.
  11. 무르시미터는 아랍어로는 www.Mursimeter.com 에서 영어로는 www.Mursimeter.com/en 에서 볼 수 있다.
  12. Momani, 2005.
  13. Reddy and Bradley, 2012.
  14. Hyde, 2012b.
  15. Wroughton, 2012.
  16. 스탠더드앤드푸어스의 평가(Hyde, 2012c).
  17. Hyde, 2012a.
  18. Hyde, 2012a.
  19. 이집트경제연구센터Egyptian Center for Economic Studies 책임자 매그다 캔들이 쓴 표현을 Detrie, 2012에서 인용.
  20.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수치를 보시오(FAO, 2012).
  21. Hussein, 2012.
  22. Marroushi and Shahin, 2012, Ahram Online, 2011.
  23. Al Masry Al Youm, 2012a.
  24. Ahram Online, 2012a에 나와있는 〈로이터〉의 수치를 보시오. Samhouri, 2012도 보시오.
  25. Haddad, 2012를 보시오.
  26. Samhouri, 2012.
  27. Elmeshad, 2012.
  28. www.dropegyptsdebt.org/ 를 보시오.
  29. Alabass, 2012.
  30. Alabass, 2012.
  31. Alabass, 2012.
  32. AFP, 2012.
  33. 1992년의 토지반환법에 따라, 식민지 시대 토지 소유주였던 가문들은 나세르 시절 토지 개혁으로 분배된 토지를 되찾을 수 있는 법적 권한을 얻게 됐다. Bush, 2009를 보시오.
  34. Shenker, 2012.
  35. Mourad and Feteha, 2012.
  36. Kalin, 2012.
  37. Ahram Online, 2012d.
  38. 2012년 9월 카이로에서의 인터뷰.
  39. Greene, 2006.
  40. 예시로는 Judt, 2006과 Hitchens, 2007을 보시오. 히친스는 “이슬람 파시즘”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990년 말리스 러스벤의 글이었다고 본다. 대니얼 파이프스에 따르면 이 용어는 우파 공화당 상원 의원 릭 샌토럼이 처음으로 미국 주류 정치에서 사용했다고 한다. 파이프스는 다양한 출처를 인용하는데, 이 출처들이 부시가 이 용어를 사용하게 만들었다는 취지에서다(Pipes, 2006a). 특히 북아메리카의 우파 정치인과 논평가들 사이에서 이 용어의 의미와 적절성을 둘러싸고 벌어진 치열한 논쟁에 대한 설명으로는 Pipes, 2006b도 보시오.
  41. Daley, 2006.
  42. Daley, 2006.
  43. Lewis, 1990.
  44. 예시로는 독일에 끼친 영향에 대한 벤하비브의 논의를 보시오(Benhabib, 2012).
  45. “IMF 폭동”에 관해서는 Marfleet, 2006을 보시오.
  46. Judt, 2006.
  47. Judt, 2006.
  48. Meijer, 2002, p118.
  49. Agwani, 1969, p50.
  50. Agwani, 1969, p86을 보시오.
  51. Brysk, 2002, p12.
  52. “저강도” 체제들의 영향에 대해서는 Marfleet, 2006을 보시오.
  53. Jadaliyya, 2011.
  54. Ahram Online, 2012c. (무바라크의 마지막 총리였던) 샤피크는 2012년 6월 대선 이후 부패 혐의로 기소돼 있다. 그는 아랍에미리트연합으로 도피했고, 2012년 11월 현재 궐석 재판 중이다.
  55. 2012년 9월 카이로에서의 인터뷰. 이슬람주의 운동의 일부는 정치적 경쟁자들에 대해 공공연한 적대감을 표출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슈크랄라가 “이따금 파시즘적인 기질”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Shukrallah, 2012b). 하지만 그러한 우발적 사건들과 정치적 전략의 일환으로서 조직된 체계적 폭력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56. Alexander, 2011, 2012를 보시오.
  57. Shadid, 2011.
  58. Charbel, 2012.
  59. Ali, 2011.
  60. 이슬람교에서는 해가 떠 있는 동안 금식하는 시간을 1년에 한 달씩 갖는데, 이를 라마단이라고 한다. 이슬람력은 순태음력으로 윤달을 전혀 두지 않아 역일과 계절이 맞지 않고, 라마단 시기도 매년 달라진다. 2012년 라마단은 양력 7월 19일부터 8월 18일까지였다.
  61. Naguib, 2012a.
  62. 이 당은 노동자 투사들의 활동을 조율하고 총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결성됐지만, 전략적 핵심 목표가 명확하지 않은 문제에 시달렸던 것으로 보인다.
  63. Beinin, 2009, p69.
  64. Beinin, 2009, p69.
  65. Shukrallah, 2012a.
  66. 2012년 9월 카이로에서의 인터뷰.
  67. 아프가니의 복잡하고 특이한 정치 경력에 관한 설명으로는 Keddie, 1972를 보시오.
  68. 살라피야는 초기 이슬람의 신앙과 관습을 환기시키는 이념적이면서도 행동주의적인 지침들을 말할 때 쓰는 용어인데, 그 참가자들을 가리키는 용어는 대개 “살라피주의자”로 번역된다.
  69. 이스라엘 정치인들이 무슬림형제단과 형제단의 팔레스타인 쪽 갈래인 하마스에 대해 특히 적대감을 보이는 핵심적 까닭이다.
  70. Mitchell, 1969, p328.
  71. Naguib, 2009, p105.
  72. Naguib, 2009, p116.
  73. Muslim Brotherhood, 2011.
  74. Baker, 1978, p96에서 인용.
  75. Baker, 1978, p189에서 인용.
  76. Jadaliyya, 2011.
  77. Al-Ahram Weekly, 1995.
  78. Jadaliyya, 2011.
  79. Hussein, Al-Said and Al-Sayyid, 1999, p77에서 “이집트에서 20년간의 다당제”를 주제로 한 토론의 일환으로 제시된 견해다.
  80. Hussein, Al-Said and Al-Sayyid, 1999, p77에서 인용.
  81. Tagammu’, 2011.
  82. El Mahdi, 2009, p100.
  83. Harman, 1994에서 제시된 접근법.
  84. Naguib, 2012b.
  85. 카이로 회의는 2003년과 2008년 사이에 정기적으로 열렸으며, 수백 명의 국제 대표단을 포함해 수천 명이 참가했다.
  86. Fahmy, 2011.
  87. Al Masry Al Youm, 2012b.
  88. Mekhennet and Kulish, 2011.
  89. 2011년 4월 카이로에서의 인터뷰.
  90. Marfleet, 2009.
  91. Tarek, 2011.
  92. Cairo Review, 2011, p95.
  93. Cairo Review, 2011, p100.
  94. Ezzat, 2001. [Ezzat, 2011의 오기로 보인다.]
  95. Trager, 2011, pp119 and 115.
  96. Ahram Online, 2011a.
  97. ‘무르쉬드’(인도자 또는 교사)는 주로 “최고 지도자”로 번역된다.
  98. Vidino 2011, p12.
  99. Nasr, 2009, pp233-234.
  100. Taşpınar, 2012.
  101. Taşpınar, 2012.
  102. Akyol, 2011.
  103. Hansen, 2012.
  104. Feteha, 2012.
  105. Springborg, 2012.
  106. Marfleet, 2012a.
  107. 사메 나기브는 대선 직후 혁명적사회주의자단체의 입장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우리는 어떠한 경우에도 다가오는 정치 및 선거 전투에서 우리 스스로를 고립시켜선 안 된다.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정치적 요구들을 제기할 기회를 얻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Naguib, 2012b.
  108. 이집트의 군부 경제에 대해서는 Marshall and Stacher, 2012와 Marfleet, 2012b를 보시오.
  109. El-Ghobashy, 2012.
  110. Ahram Online, 2012f.
  111. 2012년 11월 노동자 운동에서 조직화가 더 실질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조짐이 보였는데, 카이로 지하철 노동자들이 부패 혐의를 받고 있는 고위 경영진의 퇴진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인 끝에 빠르게 승리를 거둔 것이다. 철도와 버스 운전사들이 지하철 노조와 연대 파업을 벌이겠다고 위협하자 정부는 양보했다. Ahram Online, 2012f를 보시오.
  112. El-Houdaiby, 2012.
  113. Associated Press, 2012.
  114. MENA-Egypt Independent, 2012.
  115. Revolutionary Socialists, 2012.
  116. Daily News Egypt, 2012a.
  117. Daily News Egypt, 2012a. [Daily News Egypt, 2012b의 오기로 보인다.]
  118. 새 헌법 승인 국민투표는 결국 2012년 12월 22일에 치러졌는데, 투표율은 32퍼센트로 6월 대선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었다.
  119. Ahram Online, 2012g.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