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팔레스타인 해방의 전략

팔레스타인 좌파 내의 낡은 주장과 새로운 주장 *

MARX21

  • 출처: Ramsis Kilani, “Strategies for liberation: old and new arguments in the Palestinian left”, International Socialism 183(Summer 2024).

  1. 이 글을 편집해 주고 중요한 참고 문헌을 알려 준 앤 알렉산더에게 감사를 표한다.
  2. “하마스”는 “열심”을 뜻하는 아랍어이자, 운동의 공식 명칭인 “이슬람 저항 운동”의 줄임말이기도 하다.
  3. 하마스 군사 조직의 이름은 시리아의 이슬람 설교자이자 초기 반시온주의 무장 저항의 지도자 이즈 앗딘 알카삼의 이름을 딴 것이다. 알카삼은 1930년에 영국과 시온주의자들에 맞서는 게릴라 조직인 ‘흑수단’을 결성했고, 1935년 영국 식민 당국에 의해 살해됐다. 알카삼의 무장 저항 운동은 영국의 식민 지배와 시온주의자들의 식민지화에 맞선 1936~1939년 팔레스타인 대중 항쟁의 효시가 됐다.
  4. Chaliand, 1971, p83.
  5. 토니 클리프가 1967년 전쟁 직후에 쓴 글에서 강조했듯이 “제국주의에 맞선 식민지 인민의 반란을 서슴없이 지지하는 자만이 반란 지도자의 정책과 전술을 혹독하게 비판할 자격이 있다.” — Cliff, 1967.
  6. Marshall, 1989, pp106-113을 보라.
  7. https://player.vimeo.com/video/25917251?h=d811a692fa을 보라. Marshall, 1989, pp112-113; Sayigh, 1991, p609도 보라.
  8. 페다인(“스스로를 희생하는자”)은 초기 팔레스타인 게릴라 전사들을 말한다.
  9. 파타는 “정복”을 뜻하지만, 그 조직의 공식 명칭인 ‘팔레스타인민족해방운동’의 역두문자어이기도 하다.
  10. “와딴”은 아랍어에서 “민족” 또는 “고국”을 뜻하는 말이다. “와따니야”(“민족주의”나 “애국주의”로 번역된다)는 중동·북아프리카의 기존 국민국가들에 기초한 민족주의와 결부되는 말로 자리잡았다. 이것은 “까우미야”, 즉 범아랍 민족주의와 대비되는 말로 쓰였다. 때때로 와따니 민족주의 운동은 까우미야를 분명하게 거부했다. 일부 와따니 민족주의자들은 범아랍 민족주의가 추구하는 아랍 정체성에 기초한 단결이 비아랍 집단을 해방 운동에서 배제한다고 비판했다. 까우미 민족주의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이라크에서 특히 영향력 있었는데, 그곳에서는 쿠르드인 운동이 해방 운동에 동참했기 때문이다.
  11. Buck, 2013, p4.
  12. Omar, 2002.
  13. Interactive Encyclopaedia of the Palestine Question에 실린 Maher Charif의 글 “The Democratic Front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 1969 to Present”를 보라.
  14. 이 인터뷰는 2008년에 방영된 알자지라의 아랍어 다큐멘터리 시리즈 〈혁명 이야기〉에 나온다. 그 시리즈 중 “백향목의 고장에서”라는 제목의 에피소드를 온라인에서 볼 수 있다. ‘PFLP 총사령부’는 1968년 PFLP에서 갈라져 나온 조직이다. 대체로 시리아에 근거지를 두고 있다.
  15. Salibi, 1988, p233.
  16. Harman, 2006.
  17. Harman, 1970.
  18. Bergman, 2016.
  19. Kaled, 1973, p64.
  20. Popular Front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 1969, p31; Khaled 1973, p27.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1968년 구정 공세로 결정적인 일격을 가했다.
  21. https://youtu.be/oHgZdCJOUAk?si=EWAyc_GaaiJrcGfN을 보라.
  22. Cliff, 2000과 Greenstein 2011을 보라. 니콜라는 하이파 출신의 팔레스타인 트로츠키주의 활동가였다. 팔레스타인 공산당의 지도적 당원이었으나, 팔레스타인 공산당이 유대인 조직과 팔레스타인인 조직으로 분열할 때 당을 떠났다. 그런 뒤 1940년대에 이가엘 글룩스타인(훗날 “토니 클리프”로 알려진다)이 이끄는 작은 트로츠키주의 조직에 가담했다. 글룩스타인이 런던으로 떠나고(이후 그는 런던에서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전신인 소셜리스트 리뷰 그룹을 창설한다) 나크바가 일어난 뒤 니콜라는 지도적인 사회주의 팔레스타인 지식인으로 부상했다. 니콜라는 1963년 마츠펜(“나침반”이라는 뜻)이라는 이스라엘 사회주의 조직에 합류해 그 조직의 정치적 발전에 중요한 구실을 했다. 니콜라는 ‘6일 전쟁’ 이후 가택 연금을 당했고 1970년 런던으로 떠났다.
  23. Nicola, 1972.
  24. Popular Front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 1967, p17.
  25. 1970년대 동안 PLO는 난민촌 팔레스타인인에게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PLO의 정치 프로젝트를 유지시키는 꽤 거대한 인프라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아랍 국가들은 PLO에 자금을 댔고 “영토 없는 국가”의 발전을 가능케 했다. Marshall, 1989, p130을 보라.
  26. Leopardi, 2017, pp192-193.
  27. Eleftheriadou, 2021.
  28. Leopardi, 2017, p50.
  29. Hiltermann, 1993, pp46-52.
  30. 인티파다는 “항쟁”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다. 1987년 제1차 인티파다의 방아쇠가 된 사건은 자발리야 난민촌에서 이스라엘 장갑차가 팔레스타인 노동자들이 탄 차를 깔아뭉개 탑승자 4명이 사망한 끔찍한 사건이었다. 사망자들의 장례식은 이스라엘의 점령에 맞선 대중 집회가 됐고, 이는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거대한 대중 행동과 충돌을 낳았다. Marshall, 1989, p11을 보라.
  31. Mishal and Aharoni, 1994, p98.
  32. Marshall, 1989, p154-155
  33. https://player.vimeo.com/video/25917251?h=d811a692fa를 보라.
  34.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1995.
  35.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2006.
  36.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2023.
  37. 그 영상은 여기서 볼 수 있다.
  38. Skare, 2023.
  39. Al Jazeera, 2017.
  40. Associated Press, 2024.
  41. https://palestinianyouthmovement.com/about를 보라
  42. Malm, 2021
  43. Malm, 2024
  44. Abu-Manneh, 2024
  45. United Nations, 2018
  46. Munayyer, 2023
  47. Ross, 1982
  48. Haddad, 2024
  49. 제2차 인티파다는 2005년에 끝났고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인 정착촌의 해체와 이스라엘군의 철수를 가져왔다. 그 항쟁의 많은 부분은 무장 저항 단체들이 조직한 총격과 폭탄 공격이었다.
  50. Zitun, 2024
  51. Alexander, 2024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