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스라엘이 패배한 전쟁과 헤즈볼라 *

MARX21

  • 이 논문의 초고를 읽고 논평하고 사실관계 오류를 지적해 준 질베르 아슈카르, 앤 알렉산더, 시문 아사프, 린지 저먼, 가산 마카렘, 존 로즈, 새비 사갈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Chris Harman, ‘Hizbollah and the war Israel lost’, International Socialism, 112 (Autumn 2006).

  1. S. Hersh, Watching Lebanon, New Yorker, 21 August 2006.
  2. Washington Post, 4 August 2006.
  3. H. Shukrallah, It Didn’t Work, August 2006, www.indymedia.ie/article/77854.
  4. 위에서.
  5. 위에서.
  6. 헤즈볼라의 첫 승리는 물론 1990년에 이스라엘을 레바논에서 쫓아낸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 승리는, 전 세계 언론이 지켜보는 가운데 이스라엘군의 맹공격을 물리친 이번 승리만큼 사람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극적이지 않았다.
  7. 이스라엘이 1948~1949년에 승리할 수 있도록 미국과 소련(체코제 무기)이 지원했다. 그러나 미국이 상시적으로 대규모 원조를 제공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후반부터였다.
  8. 당시 토니 클리프가 쓴 분석 글은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웹사이트 www.isj.org.uk/index.php.4?id=229 에서 확인할 수 있다[국역: ‘중동에서의 반제국주의 투쟁’, 《마르크스21》 23호(2018년 1~2월호)]. 이 밖에도 클리프는 여러 모임에서 (인쇄된 텍스트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그와 관련된 주장을 펼쳤다.
  9. N. Qassem, Hizbullah: The Story from Within (London 2005), p.68.
  10. M. Williams, Counterpunch, 14 August 2006.
  11. 이스라엘 국가는 먼 친척 중에 ‘유대인’이 있다는 식의 모호한 주장만으로도 옛 소련 출신 이민자들을 쉽게 받아들였다. 그 목적은 이스라엘과 점령지[서안지구·가자지구·동예루살렘] 내 팔레스타인인 인구보다 이스라엘의 ‘유대인’ 인구를 더 빨리 늘리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예시는 마크 로이터루시 애쉬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정책은 필리핀 등지에서 온 25만 명의 비정규직 노동자들로 서안지구와 가자지구의 아랍 노동자들을 대체하는 정책과 연결된 정책이다.
  12. 출처는 이스라엘 신문 〈하아레츠〉, www.haaretz.com/hasen/spages/743767.html
  13. N. Qassem, 앞에서, p.69.
  14. 앞에서, pp.72-73.
  15. 토니 클리프가 1967년 이스라엘-아랍 전쟁에 관해 쓴 논문, 상동.
  16. A.N. Hamzeh, In the Path of the Hizbullah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4), p.13.
  17. A.N. Hamzeh, 앞에서, p.11.
  18. 앞에서, p.13. ‘박탈당한 자들의 운동’을 처음 건설하기 시작한 것은 1974년 무사 알 사드르(1978년 리비아 여행 중 실종)였지만, 레바논 내전이 발발하면서 그 초기 성과가 무색해졌다.
  19. 앞에서, p.87.
  20. N. Qassem, 앞에서, p.74.
  21. 앞에서, pp.74-75.
  22. A.N. Hamzeh, 앞에서, p.89.
  23. 앞에서, p.75.
  24. 앞에서, p.77.
  25. 앞에서, pp.50-55, 다양한 종류의 지출에 대한 수치를 제공하지만, 그 수치를 살펴보면 저자(또는 조판사)가 숫자 0을 몇 개 잘못된 곳에 넣은 것이 아닌가 싶다.
  26. 앞에서, p.59.
  27. 앞에서, p.67.
  28. 이 문제에 대한 헤즈볼라의 방향 전환에 대한 긴 논의를 살펴보려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라. Saad-Ghorayeb, Hizbu’llah, Politics and Religion (London 2002), pp.34-59.
  29. N. Qassem, 앞에서, p.31.
  30. A.N. Hamzeh, 앞에서, p.123.
  31. A.N. Hamzeh(앞의 책, pp.105-108)의 설명을 따른 것이다.
  32. 함제와 카셈 모두 이 분열에 대해서 다뤘지만, 서로 관점이 달랐다.
  33. A.N. Hamzeh, 앞에서, p.126.
  34. 2006년 9월 6일 〈소셜리스트 워커〉 레바논 베이루트 특파원 시문 아사프가 전한 내용이다.
  35. A.N. Hamzeh, 앞에서, p.121.
  36. G. Achcar in Lebanon: The 33-Day War and UNSC Resolution 1701, znetwork.org/znetarticle/lebanon-the-33-day-war-and-unsc-resolution-1701-by-gilbert-achcar. 이 기사는 결의안의 교묘한 문구들을 잘 설명하고 있다.
  37. 2006년 9월 6일 시문 아사프가 베이루트에서 전한 내용.
  38. N. Qassem, 앞에서, p.243.
  39. 앞에서, p.240.
  40. 앞에서, p.243.
  41. 앞에서, p.244.
  42. 앞에서, p.245.
  43. 2006년 9월 6일 시문 아사프가 베이루트에서 전한 내용.
  44. PLO와 파타가 결성된 것은 1950년대 중반이었지만, 그들이 팔레스타인 투쟁의 주도권을 장악한 것은 1967년 전쟁 이후였다.
  45. I. Ali, Palestine: Guerrilla Organisations, International Socialism 36 (first series) (April-May 1969).
  46. 카라메 전투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예컨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en.wikipedia.org/wiki/Karameh
  47. Ali, 앞에서.
  48. 1969년 8월 당시 요르단 수도 암만에서의 논의에 대한 내 기억에 기반해 쓴 것이다.
  49. 이 또한 1970년 검은 9월 내전 초기 암만에서 PLO의 회의에 참석했을 당시 기억을 돌이켜 쓴 것이다.
  50. N. Qassem, 앞에서, p.64.
  51. 나와 대화하면서 질베르 아슈카르가 사용한 표현
  52. A.N. Hamzeh, 앞에서, p.135.
  53. A.N. Hamzeh, 앞에서, p.123.
  54. G. Monbiot, Guardian, 8 August 2006.
  55. Centre pages, Scottish Socialist Voice, 21 July 2006
  56. 시온주의의 역사와 이스라엘 국가의 성격을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존 로즈의 훌륭한 책 Israel: The Hijack State (Bookmarks, London)[국역: 《강탈국가 이스라엘》, 책갈피, 2018]을 참고하라. 다음에서 디지털 형태로도 읽을 수 있다. www.marxists.de/middleast/rose/4-origin.htm
  57. 1986년 1월 16일 <뉴욕리뷰오브북스>에 실린 해당 인구 조사의 타당성에 대한 로날드 샌더와 여호수아 포래스의 논의 참고.
  58. Y. Porath, New York Review of Books, 앞에서.
  59. 1968년 통계는 H. Hanegbi, M. Machover, A. Orr, The Class Nature of Israeli Society, New Left Review 65, January-February 1971, p.4 참고
  60. 앞의 책 p.5에서 인용.
  61. Tony Cliff, 1967년 전쟁에 관한 앞의 글.
  62. Ha’aretz, 30 September 1951, H. Hanegbi, M. Machover, A. Orr, 앞의 책, p.11에서 재인용.
  63. 통계 출처는 Washington Report on Middle East Affairs, www.washington-report.org/html/us_aid_to_israel.htm
  64. Economist Tallies Swelling Cost of Israel to US, Christian Science Monitor, 9 December 2002, www.csmonitor.com/2002/1209/p.16s01-wmgn.html
  65. H. Hanegbi, M. Machover, A. Orr, 앞에서, p.9.
  66. 앞에서, p.10.
  67. American Jewish Yearbook, 1990, p.270.
  68. BBC News, Sunday 5 January 2003, 02:23 GMT, news.bbc.co.uk/2/hi/business/2627561.stm
  69. American Jewish Yearbook, 1990, p.270.
  70. BBC News, Sunday 5 January 2003, 02:23 GMT, news.bbc.co.uk/2/hi/business/2627561.stm
  71. H. Hanegbi, M. Machover, A. Orr, 앞에서, p.6.
  72. 예를 들어, R. Cohen and Y. Shaul, Social Protection in Israel and Sixteen European Countries (Jerusalem 1998)를 보라. www.issa.int/pdf/jeru98/theme3/3-6d.pdf 그들의 결론에 따르면, 최근 확장 이전 유럽연합 회원국들과 비교해, ‘이스라엘은 출산 수당과 산재 수당에 있어서는 중간 정도에 속하지만 실업률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실업 중 복지 혜택은 전반적으로 프랑스와 독일보다는 적지만 영국과 비교해서는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73. H. Hanegbi, M. Machover, A. Orr, 앞에서, p.11.
  74. 조지 갤러웨이가 “헤즈볼라의 승리가 중동을 완전히 바꿔 놨다”는 제목으로 〈가디언〉에 기고한 글. Guardian, 31 August 2006.
  75. H. Hanegbi, M. Machover, A. Orr, 앞에서, p.11.
  76. R. Lowe and C. Spencer, Iran, Its Neighbours and the Regional Crises (Chatham House, August 2006), p.6. www.chathamhouse.org.uk/pdf/research/mep/Iran0806.pdf
  77. 앞에서.
  78. 앞에서.
  79. New York Times, 4 August 2006.
  80. 이에 대한 나의 분석은 다음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nalysing Imperialism, in International Socialism 99 (Summer 2003)[국역: 《크리스 하먼의 새로운 제국주의론》, 책갈피, 2009].
  81. R. Lowe and C. Spencer, 앞에서.
질문/의견